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이행기 정의와 구술사

원문정보

Transitional Justice and Oral History

정근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virtuous cycle of transitional justice and oral history archives. Oral history research in Korea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or social others, which influenced the activities of various truth committees pursuing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as not sufficiently reviewed. Based on the case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from 2005 to 2010, the results of oral history research are of considerable help in finding the truth, but for further development of oral history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raw up direct or indirect use of victims' statements or testimonies, paying attention to the Korean War civilian casualties and collective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is context, the concept of 'archival justice' has many implications, and prepar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human rights archive are needed, following the example of the already established 'Democratic Movement Archive'.

한국어

이 글은 이행기 정의와 구술사 아카이브의 선순환적 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의 구술사연구는 사회적 약자나 타자들의 경험에 기초하여 발전하였는데, 이는 이행기 정의를 추구하는 다양한 진실위원회의 활동에 영향을 주었고, 또 영향을 받았 지만, 양자의 관계가 충분히 검토된 것은 아니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활동한 진실·화해위원회의 사례에 기초해 볼 때, 구술사 연구의 성과들이 진실규명 작업에 상당한 도움을 주고 있지만, 구술사 연구의 더 큰 발전을 위해서는 진실화해위원회가 다루는 한국전쟁기 민간인 희생이나 권위주의 통치기 집단적 인권침해사건들에 주목 하면서 피해자의 진술이나 증언들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 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런 맥락에서 ‘아카이브 정의’라는 개념은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는데, 이미 설립되어 있는 ‘민주화운동 아카이브’의 예를 따라, 인권 아카이브 의 설립을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의 제기
2. 이행기 정의와 진실위원회
1) 밑으로부터의 이행기 정의
2) 한국의 진실위원회 경험
3) 진실·화해위원회의 활동과 성과
3. 구술과 진실의 구성
1) 이행기 정의와 구술프로젝트
2) 사회적 진실과 법적 진실
3) 이행기 정의와 구술사 아카이브
4. 2기 진화위에서의 쟁점과 과제
5. 인권친화적 구술사와 아카이브를 위하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근식 Jung, Keun-Sik.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