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view Article]

싱잉볼 소리의 특성 및 임상적인 기전

원문정보

Acoustic Property and Clinical Mechanism of the Singing Bowl Sound

김성찬, 홍금나, 최민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ckground: The singing bowl is a bowl-shaped percussion instrument and is used in meditation and healing programs, but the mechanism of its clinical effects is unclear. Purpose: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peculiar acoustic property of the singing bowl sound and discussed on physical mechanisms of the clinical effects of the singing bowl sound. Methods: We studied the literature by reviewing it. Results: There are multiple pitches at adjacent frequencies in the singing bowl sound, and they give rise to the beat phenomenon. This results in a solid persisting beating felt in the singing bowl sound. Furthermore, the beat that depends on singing bowls and playing methods includes a rhythm often similar to the frequency band of brain waves (theta wave) observed in meditative states and induces a synchronization phenomenon in which the rhythm activates the brain waves in meditative states. Furthermore, we are to infer that the clinical effect of the singing bowl sound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ynchronization of brain waves to the beat rhythm of the singing bowl sound. Conclusion: To clearly understand the clinical mechanism of the singing bowl sound, we suggest further systematic studies on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to the beats of the singing bowl sound.

한국어

배경: 싱잉볼은 그릇 모양의 타악기로 명상 및 치유 프로그램에 활용되고 있으나, 임상적 효과에 대한 기전이 명 확하지 않다. 목적: 본 논문에서는 싱잉볼 소리의 독특한 음향학적인 특성을 개관하고, 싱잉볼의 효과를 유도하는 물리 적인 기전에 대해 토의했다. 방법: 문헌을 고찰하여 연구하였다. 결과: 싱잉볼 소리는 인접한 다수의 피치의 소리가 포 함되어 있어 맥놀이 현상이 발생한다. 싱잉볼 소리에서 느끼는 강하고 지속적인 소리의 울림은 맥놀이 현상의 결과이다. 싱 잉볼 소리의 울림은 싱잉볼 악기 및 연주 방법에 좌우되며, 대체로 명상 상태에서 관찰되는 뇌파(세타파)와 유사한 리듬 을 포함하며 명상 뇌파를 활성화하는 동조 현상을 유발한다. 싱잉볼 소리의 임상적 효과는 주로 싱잉볼 소리의 울림의 리듬과 뇌파의 동조 효과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 싱잉볼 소리의 임상적인 효과에 대한 기전을 명확 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싱잉볼 소리의 울림에 대한 심리 및 생리적인 반응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초록
서론
싱잉볼 소리
물리적 기전
싱잉볼의 임상적 효과
고찰
결론
Acknowledgment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성찬 Seong Chan Kim. 제주대학교 의공학협동과정
  • 홍금나 Geum Na Hong. 제주대학교 대학원
  • 최민주 Min Joo Choi. 제주대학교 의학대학 의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