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년 실업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년실업자의 역경 대처과정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Unemployed Youths' Process of Coping with an Adversity in a Youth Unemployment Support Program : With a Focus on the Grounded Theory

강문선, 이영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theory of reality that explains the process and structure of adversity coping with unemployment for young unemployed people. For this purpose, interview data were used for 13 unemployed young people who were willing to work for 20-39 years or younger but were unemployed for more than one year after their last job search. The interview data were interviewed in depth and analyzed according to Strauss and Corbin(1998)'s grounded theory procedure. As a result of the study, 190 concepts, 62 subcategories, and 22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Categorical analysis results by the paradigm show that the central phenomenon was “facing myself objectively” in the process of unemployed youths coping with the adversity of unemployment. Its causal conditions included “advice and support from family and resources”, “uncertainty of career goals” and “physical and mental exhaustion caused by overwhelming stress”. Contextual conditions reacting to the central phenomenon include “feeling dissatisfied and pressured in the employment system”, “experiencing economic difficulties”, “social isolation of not being able to belong anywhere” and “ir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within the workplace”. Interventional conditions include “assessing my value based on my employment”, “limitations in policies related to youth unemployment”, “being self-motivated and taking a chance to challenge myself” and “having an active mindset for changes”. Interactive/reactive strategies include “adaptive coping strategies”, “having negative thoughts about oneself”, “avoiding the employment reality”, “finding a compromise between reality and ideal and trying my best in the reality” and “acting out for changes”. These interactive/reactive strategies led to the following outcomes: “taking a new perspective about myself and unemployment situation and changing its meanings”, “developing control through self-regulation”, “taking a leap for a new life”, “being sensitive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eeling frustrated due to repeated failure”. In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was a “growth process through small challenges by facing myself and having realistic optimism in an adverse situation”. Unemployed youths underwent six stages over time as they coped with the adversity of unemployment “fighting unsupported”, “being in a dilemma”, “accepting myself”, “facing myself”, “trying changes” and “taking a step further”. When they failed to accept and face themselves at the stage of “being in a dilemma”, unemployed youths repeated the four steps of “escaping from reality”, “losing my fighting spirit”, “supports being cut off”, and “giving myself up”. At the stage of “fighting unsupported”, they focused only on preparations for employment to overcome repeated failure after experiencing the adversity of unemployment for a long time. They were not able to use proper measures and made too much effort for their capacity alone. At the stage of “being in a dilemma”, they thought over of their career choices after their prolonged fight unsupported. They lacked in confidence about their careers despite their goals. They either had conflicts or settled for reality, being at a loss at a turn-off. At the stage of “accepting myself”, they got to accept themselves after having contemplation over their career and fighting unsupported at the stage of being in a dilemma. At the stage of “facing myself”, they renewed their perceptions of themselves and looked squarely at their problems or aspects through self-acceptance. At the stage of “trying changes”, they made an attempt at taking an action for changes, stroke balance between reality and ideal, and made gradual efforts they could do in reality. At the stage of “taking a step further”, they started to have a desire to restore themselves from adversities and take a challenge after trying changes through small achievement experiences and entered a practical stage for a life they wanted. The core category to explain the process of unemployed youths coping with the adversity of unemployment was a “growth process through small challenges by facing myself and having realistic optimism in an adverse situation”. That is, unemployed youths with adversity experiences accepted their failure or frustrating situation, faced themselves objectively, predicted the best scenario while recognizing reality accurately, made small challenges to achieve it, and made efforts for growth. There were four types of coping with the adversity of unemployment among unemployed youths: “active leap type”, “change exploration type”, “reality settlement type”, and “resignation type”. The type of “active leap type” involves active action strategies to pick a career fit for themselves by changing their given situations or adjusting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s to cope with the adversity despite the harsh and difficult reality. Unemployed youths in the type of “change exploration type” prepared themselves for a better job after work experiences in the past. Although their economic difficulties were smaller than those of people with the “active leap type”, they stood at the crossroads of finding a compromise between reality and ideal and making preparations for changes. Those with the “reality settlement type” did not try to break through the adverse situation of unemployment actively, remained optimistic about their future, and were overall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situations. Those with the “resignation type” had huge frustrations and suspended their attempts at employment after repeated failure experiences of being rejected for a job.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veral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adversity coping process of young unemployed, as well as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counseling and program development focusing on the adversity coping process and type of young unemployed. Specifically, based on the process of coping with adversity, it is to identify what stage young unemployed people remain at, and to develop various counseling approaches that can intervene to move on to the next stage. In addition, if young unemployed people are differentiated by type and developed a program that combines mental health and economic support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it is expected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unemployment support program that has been underwa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on the process of coping with adversity by young unemployed peopl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한국어

본 연구는 청년실업자들을 대상으로 실업이라는 역경 대처과정과 구조를 설명하는 이론을 개발하고 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20-39세 이하의 구직의사가 있으나, 마지막으로 취업활동을 한 이후 연속적 으로 1년 이상 실업 상태인 청년실업자들 13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한 면담자료를 활용하였다. 심층면 접을 통해 면담자료를 실시하였으며,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에서 190개의 개념과 62개의 하위범주, 2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청년실업자들의 역경 대처과정의 중심현상은 ‘자신을 객관적으로 직면함’이었다. 중심현상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은 ‘가족 및 주변 자원의 조언과 지지’, ‘진로목표의 불확실성’, ‘짓누르는 스트레스로 인해 심신피폐’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응하는 맥락적 조건은 ‘취업 체계에 대한 불만과 답답함’,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 ‘어디에도 소속될 수 없는 사회적 소외감’, ‘직장 내 불합리한 조직문화’이다. 중재적 조건은 ‘취업으로 나의 가치 유무를 평가’, ‘청년실업과 관련한 정책 의 한계’, ‘스스로 동기부여하며 도전의 기회를 삼음’, ‘변화를 위한 적극적 마음을 가짐’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개인의 적응적 대처방식’, ‘자신에 대한 부정적 생각을 가짐’, ‘취업 현실을 회피 함’, ‘현실과 이상의 타협점을 찾고 현실에서의 최선을 시도함’, ‘변화를 위한 행동화’로 나타났다. 이러 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사용한 결과는 ‘자신과 실업 상황을 새로운 관점으로 인식하며 의미변화’, ‘자 기조절을 통해 통제력이 생김’, ‘새로운 삶을 도약함’, ‘대인관계에서 예민성’, ‘반복되는 실패로 인한 좌 절경험’이었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역경 상황에서 자기 직면과 현실적 낙관성을 통해 작은 도전 을 시도하며 성장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청년실업자의 역경 대처과정의 단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고군분투의 단계’, ‘진퇴양난의 단계’, ‘자 기수용의 단계’, ‘자기 직면의 단계’, ‘변화 시도의 단계’, ‘한걸음 나아감의 단계’이고, 시간의 흐름에 따 라 6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퇴양난의 단계’에서 자기수용과 직면을 하지 못하면 ‘현실도피’, ‘전의상실’, ‘지원단절’, ‘자포자기’의 4단계를 되풀이하였다. ‘고군분투의 단계’는 장기간 실업 상황의 역 경을 경험하면서 반복되는 실패를 극복하고자 취업 준비에만 몰두하지만 적절한 대처를 사용하지 못하 고 혼자서 힘에 벅차게 노력만 하는 단계이다. ‘진퇴양난의 단계’는 고군분투가 장기화되면서 진로선택 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되고, 자신이 목표를 정하긴 했지만 진로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여 갈림길에서 어찌할 바를 몰라서 갈등하거나 현실에 안주하는 단계이다. ‘자기수용의 단계’는 진퇴양난의 단계에서 자신의 진로에 대해 생각하며 고군분투하다가 자신에 대해 받아들이는 단계이다. ‘자기 직면의 단계’는 자기수용을 통해 자신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고 자신의 문제나 모습을 직시하는 단계이다. ‘변화 시도의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변화를 위해 행동을 시도하면서 현실과 이상의 균형을 찾고 현실에서 할 수 있는 점진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단계이다. ‘한걸음 나아감의 단계’는 작은 성취 경험을 통해 변화를 시도하고 자 한 후, 역경을 회복하고 도전하고자 하는 욕구가 생기기 시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삶을 위한 실천적 단계에 들어서는 단계이다. 청년실업자들의 역경 대처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핵심범주는 ‘역경 상황에서 자기 직면과 현실적 낙 관성을 통해 작은 도전을 시도하며 성장하는 과정’이었다. 즉, 역경을 경험한 청년실업자들은 실패나 좌절 상황을 받아들이며 자신에 대해 객관적으로 직면하고, 현실에 대해 정확하게 지각하면서도 최선 을 예상하며, 이를 성취하기 위해 작은 도전을 시도하고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청년실업자의 역경 대처유형은 ‘적극적 도약형’, ‘변화 탐색형’, ‘현실 안주형’, ‘체념형’의 4가지 유형 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도약형’은 역경을 대처함에 있어서 처한 현실이 아무리 힘들고 어려워도 주어진 상황의 변화나 주변 환경과 조정을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로 변경하고자 적극적인 행동 전략을 사 용하는 유형이다. ‘변화 탐색형’은 과거 직장생활 경험 후, 더 좋은 직장을 구하기 위해 취업 준비를 하 는 유형으로, 경제적 어려움은 적극적 도약형에 비해 심하진 않으나, 현실과 이상의 타협점을 찾아야 하는 기로에서 변화를 위해 준비를 도모하는 유형이다. ‘현실 안주형’은 실업이라는 역경 상황에 대해 적극적으로 타개하려 들지 않고 미래에 대해 낙관적으로만 생각하며 현재 상황에 대체로 만족하고 살 아가는 유형이다. ‘체념형’은 채용되지 않는 실패경험을 지속적으로 맞닥뜨리게 되면서 높은 좌절감으 로 인해 취업시도를 잠시 중단한 유형이다. 본 연구는 청년실업자들의 역경 대처과정에 대한 전반적이고 실제적인 이해에 기여할 뿐 아니라 청 년실업자들의 역경 대처과정과 유형에 초점을 맞춘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는 역경 대처과정에 근거하여 청년실업자들이 어떤 단계에 머물러 있는지 파악하고, 다음 단계로 이행하기 위해서 개입할 수 있는 다양한 상담적 접근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청년실업자들을 유형별로 차별화하여 각 특성에 맞게 정신건강과 경제적 지원을 접목한 프로그램을 개 발한다면 지금까지 진행되어왔던 실업지원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보완해줄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년실업자들의 역경 대처과정에 관한 논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역경과 역경 후 성장
2.2 청년 실업지원 프로그램
2.3 청년실업자의 역경 대처과정에 대한 연구 필요성
Ⅲ. 연구방법
3.1 연구 참여자 선정 및 특성
3.2 연구방법에 대한 평가 및 윤리적 고려
3.3 자료수집
3.4 자료분석
Ⅳ. 실증분석 결과
4.1 개방코딩
4.2 축코딩
4.3 과정 분석
4.4 핵심범주
4.5 유형분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강문선 Moon-Sun Kang. 한일장신대학교 심리상담학과 조교수
  • 이영순 Young-soon Lee.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