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일학교 초등부 학생들의 찬양 선호도에 대한 조사연구

원문정보

An Investigation on the Praise Preferences of Sunday School Elementary Students

주지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ise preferences of Sunday school elementar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background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particular preferences. Total numbers of 1,018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from all over the country. The researcher mailed out surveys three times and collected data from October 1 to October 29.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following: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ender groups and grade levels regarding preferences in praising method. The female students preferred the more active praising method and lower the grades as well.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gender groups and ministry in praising genre preferences. The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preferences for hymn, children's hymn, CCM and children's CCM than the male students. It was also noted that those who served as accompanists, choir members, and praise team members preferred these types of genres more than those of who did not. Lastly, the church's location as well as the instrumental usage within the chur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tudents from churches using only the piano preferred praise more than those from churches using electrical instruments did when singing hymns, children's hymns, CCM, or children's CCM.

한국어

이 연구는 주일학교 초등부 학생들의 찬양 선호도를 조사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요인을 알아 본 것이었다. 설문조사를 위해 전국 교회의 주일학교 4, 5, 6학년 학생, 총 1,01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자는 9월 30일부터 10월 23일까지 총 3차례에 걸쳐 설문지를 우편발송 하였다. 10월 1일부터 10월 29일까지 회수된 설문의 자료를 통계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찬양 방법 선호도에 있어 성별과 학년 간에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찬앙 방법 선호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이 낮으면 낮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찬양 장르 선호도에 있어 성별과 찬양사역 간에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선호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주일학교에서 반주자, 성가대, 찬양단 등의 찬양 사역을 하고 있지 않은 학생 보다 찬양 사역을 하고 있는 학생의 선호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찬양 장르 선호도에 있어 교회 위치와 교회의 악기 사용 간에 차이가 있었다. 교회 위치 선호도에 있어 수도권과 도시, 광역도시, 기타지역 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일학교에서 전자악기를 사용하고 있는 교회 학생 보다 피아노만 사용하고 있는 교회의 학생의 선호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방법
  대상
  연구의 절차
  측정도구
 결과
  연구대상자
  개인요인과 찬양 방법 선호도
   1. 성별과 찬양 방법 선호도
   2. 학년과 찬양 방법 선호도
   3. 출석기간과 찬양방법 선호도
  개인요인과 찬양장르 선호도
   1. 성별과 찬양 장르 선호도
   2. 찬양 사역 여부와 찬양 장르 선호도
   3. 선호하는 음악요소와 찬양 장르 선호도
  교회요인과 찬양 장르 선호도
   1. 교회 규모와 찬양 장르 선호도
   2. 교회 위치와 찬양 장르 선호도
   3. 교회의 사용 악기와 찬양 장르 선호도
 결론 및 논의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주지은 Ju, Ji-eun.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