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학교 교사의 효능감, 소진, 교직만족도 구조관계에서 사회정서역량의 역할

원문정보

The Role of Social-emotional Competency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김정은, 오영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discuss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o-cognitive and affective variables on secondary teachers’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multiple paths from teacher efficacy to teachers’ job satisfaction via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burnout in middle school contexts. Using panel data of 853 middle school teachers, the latent moderated structural equation approach was applied to test multiple mediations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by Mplus 8.4. According to research findings, despite teachers’ burnout showing a negative effect o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e positively affecte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Besides, a positive simple mediation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via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a positiv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via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burnout in order was found. Lastly, i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test, no mediation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via burnout and no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on the mediation effect was found, respectively. However, a negative moderation effect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epth suggestions were made on expanding our theoretical knowledge of socio-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and their applications for teachers’ job satisfaction.

한국어

이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지·정의적 변인들 간의 구조 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교사효능감이 사회정서역량과 교사소진을 경유하여 교직만족도에 이르는 다양한 구조적 경로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교사 853명(남교사 213, 여 교사 640)을 대상으로 Mplus 8.4를 통해 잠재조절 구조방정식을 적용하여 다중매개 및 조절 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효능감과 사회정서역량은 교직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고, 교사소진은 교직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교 사효능감이 사회정서역량을 거쳐서 교직만족도를 상승시키는 정적 단순매개효과와 교사효능 감이 사회정서역량과 교사소진을 순서대로 지나 교직만족도를 개선하는 정적 다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에서 교사효능감이 교사소진을 거쳐 교직만족 도에 이르는 간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이 간접경로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도 역시 나타나지 않았다. 대신 교사효능감이 교직만족도를 개선하는 정적효과를 교사의 사회정서역 량이 부적으로 조절하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교사의 교직만족도와 관련하여 사회인지·정의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 와 이론 정립 및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효능감
2. 교사소진
3. 교직만족도
4. 교사 사회정서역량
5. 교사효능감, 소진, 교직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정서역량의 조절된 매개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모형 및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2. 자료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은 Kim Jeong Eun. 전남대학교 석사과정
  • 오영교 Oh Young Kyo. 전남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