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브랜드 가상공간의 유형별 프레즌스와 연속적 경험요인 사례연구 - 제페토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Case study of Presence and Continuous Experience Factors by Type of Brand Virtual Space - Focusing in ZEPETO –

홍승희, 이연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mmunication in virtual space has expanded as an unt act culture rapidly converges into human life. Also, an int erest in metaverses has drastically increased because of multisensory interactions occuring outside time and spac e constraints. Recently, brands are using a virtual space as a new marketing channel that reflects the brand's uni que space and narrative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th at is recognized as a new dimension of real space.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continuous experience betw een reality and the metaverse environment as the brand's physical space is expanded to the virtual space. In this st udy, the types of brand's virtual spac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imilarity of reality as "Reality-connecte d," "Reality-non-connected," and "Hybrid type" using 'Z epeto' of Naver Z, a commercialized metaverse platfor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b-factors of perceptual co ntinuity and cognitive continuity in the different types of virtual spaces were different based on the similarity of br and content to the reality and the reality of the narrative. However, implications of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 e technical limitations in providing continuous experience s from brands because functional continuity depends on the platform's operation method and physical reaction. T his study suggests that the virtual space can continue to be a new dimension of communication channel that enha nces the value of the brands if a brand can create a uniqu e experience that includes their intentions when designin g the brands' virtual space in the future.

한국어

비대면 문화가 인류의 삶에 빠르게 융합되면서 가상공간 에서의 소통이 확대되었고,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다감각 적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 다. 최근 다수의 브랜드는 메타버스 환경에 고유의 내러티브 를 반영한 가상공간을 구축하여 이를 새로운 마케팅 채널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의 물리적 공간이 가상공간 으로 확장되면서 현실 세계의 활동이 메타버스 환경으로 이 동하거나 재현되어 연속적인 경험을 생성하고 있음에 주목하 였다.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프레즌스와 경험의 연속성 개 념을 고찰하고, 상용화된 메타버스 플랫폼인 네이버 Z의 ‘제 페토(Zepeto)’ 내 브랜드 공식 월드맵의 현실 유사성에 따라 브랜드 가상공간의 유형을 ‘현실 연계형’, ‘현실 비 연계형’, ‘하이브리드형’의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참여관찰과 사례연 구를 통해 공간 유형별 프레즌스 결정요인 적용 요소를 파악 하고 현실과 가상의 경험을 연결하는 연속적 경험의 세부 요 인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현실 세계와 가상공간을 연결하 는 지각적 연속성과 인지적 연속성의 세부 요인은 브랜드 콘 텐츠의 현실 유사성과 내러티브의 실재성에 따라 가상공간의 유형별로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으나 기능적 연속성은 플랫폼이 공통으로 제공하는 조작방식과 물리적 반응 경험에 의존 하므로 브랜드가 차별화된 연속적 경험을 제공하는 데 기술 적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브랜드 가상 공간 설계 시 브랜드가 의도하는 가상공간 유형의 특성에 따 라 브랜드 주도의 차별화된 경험의 접점을 생성한다면, 가상 공간은 브랜드의 경험 가치를 높여주는 새로운 차원의 커뮤 니케이션 채널로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가상공간의 경험 요인과 프레즌스
2.1. 가상공간과 경험의 연속성
2.2. 프레즌스 경험
2.3. 브랜드 가상공간의 프레즌스 결정요인
3. 브랜드 가상공간 유형별 사례분석
3.1. 브랜드 가상공간 유형분류
3.2. 사례 분석
3.3. 분석결과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홍승희 Hong Seung Hee. 홍익대학교, 디자인공예학과 시각디자인전공
  • 이연준 Lee Youn Joon.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시각디자인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