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로자의 업종 및 직종특성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활용유형에 관한 탐색연구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f Types of Required Vocational Core Competencies by Industry and Job Characteristics for workers

임정연, 윤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vocational core competencies by job to proactively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industrial and occupational environments. The data of 5,075 currently employed youths aged between 26 and 42, produced by the 12th YouthPanel(YP) survey that tracks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jobs and labor market were used. To classify vocational core-competencies, 15 task performance variables were used; factor analysis, latent class analysis, t-test, ANOVA, χ2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s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vocational core competencies comprise four elements: communicative cooperative change, basic language, document preparation and use, and expertise competencies. Second, latent profile analysis of the vocational core competencies of the workers showed that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each core competency, there are four groups: middle-level communicative cooperative change type; upper-middle expertise and communicative cooperative type; high-level expertise type; and low level-communicative cooperation type. Third, while there was least difference between groups regarding communicative cooperation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tise among groups, suggesting that the level of expertise competenc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dentifying a group. Fourth, workers’ industry and job types varied depending on the latent classes of vocation core competenc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creating policies to develop vocational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industry and job type.

한국어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산업 및 직업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근로자의 일자리 특성별 요구되 는 직업기초능력의 특성과 유형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현재 직장생활을 하는 26세~42 세 사이의 청년 5075명이며, 분석을 위해 청년층의 일자리 및 노동시장 특성을 추적조사하는 청년패널 (YP) 1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직업기초능력 유형화를 위해 15개의 업무능력변수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을 위해 요인분석, 잠재계층분석, 차이검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기초능력은 일반적으로 소통협력변화능력, 기초언어능력, 문서작성 및 활용능력, 전문성 능력 등 4개의 요소로 구분되고 있었다. 둘째, 근로자의 직업기초능력 잠재프로파일 분석결과, 근로자의 직업 기초능력 중요도에 따른 집단은 4개 집단(중간수준_소통협력중심형, 중상수준_전문성&소통협력활용형, 고수준_전문성중심형, 저수준_소통협력중심형) 으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체적으로 집단 간, 소통협력문제해결역량의 차이는 가장 적은 반면 전문성 역량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집단을 구분하는 큰 요인은 전문성역량의 수준이 작동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넷째, 각각의 산업과 직업군에 따라 직 업기초능력 주된 잠재유형 특징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산업 및 직업별 직업기초능력개 발 및 지원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목차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1. 직업기초능력과 하위요소
2. 일자리 특성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직업기초능력 타당도 및 잠재프로파일 분석
2. 근로자특성별 직업기초능력 및 유형화 차이
3. 근로자의 직업기초능력 유형화 로지스틱 회귀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정연 Jungyeon, Lim. 한국폴리텍대학 조교수
  • 윤지영 Jiyoung, Yoon. 서울여자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