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a place-specific dramatic play using elementary school place and to explore effects of programs on particip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22 students from Seoul A Elementary School.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eight weeks. The program was designed with the help of artist ‘L’, a community theater expert and a theater director, and some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the form of coaching with L. In order to provide a meaningful experience for participants to relate to the everyday place of school, this study linked 'site-specific art' to drama education. The program was developed linking place identity and its component(Relph, 2005) and metaxis space characteristics(Bae&Kim, 2020).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in the site-specific dramatic play recognized the school as a place with personal and collective meaning, not an objective and physical space. Second, participants in the site-specific dramatic play diversified their perspectives on everyday spa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derieved from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igid and fixed school spaces can be used at the level of children's eyes through drama education. Second, drama education breathe life into everyday space through imagination. Third, drama education can diversify and enrich the perspective on space by making it recognized as variable place with new possibilities. If children perceive the school space, which they have accepted passively, as a place full of fun, imagination, and meaning through art, children will be able to pursue fun in the space, continue playing, and enrich their lives.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공간을 활용한 장소특정적 연극놀이를 개발하여 실행하고, 프로그램이 참여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A 초등학교의 학생 22명이며, 프로그램은 약 8주간 진행되었다. 커뮤니티 연극 전문가이자 연극 연출가인 예술가 L의 조언을 받아 프로그램을 설계하였고, 일부 활동은 코티칭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참여자가 학교라는 일상적인 장소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장소 특정적 예술’을 교육연극과 연계하였다. 이에, 장소특정적 연극놀이 프로그램은 장소 정체성 구성요소 (Relph, 2005)와 메탁시스 공간 특성(배주연·김병주, 2020)을 연계하였으며, 예술가와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었다. 프로그램 진행 후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장소특정적 연극놀이의 참여자는 학교를 객관적,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공간이 아닌 개인적, 집단적 의미가 있는 장소로 인식하였다. 둘째, 장소 특정적 연극놀이의 참여자는 일상적인 공간을 바라보는 관점을 다각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경직되고 획일화된 학교 공간을 교육 연극을 통해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추어 활용할 수 있다. 둘째, 교육연극은 일상의 공간에 낯설고 새로운 상상의 이미지를 불어넣어 공간과 장소를 살아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셋째, 교육연극은 공간을 가변적인 곳, 새로운 가능성을 지닌 곳으로 인지하게 하여 공간에 대한 인식을 다양하고 풍성하게 할 수 있다. 어린이들이 수동적으로 받아들였던 학교 공간을 예술을 통해 재미와 상상, 의미가 가득한 장소로 인식 하게 된다면, 어린이들은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서 주체가 되어 공간에서 재미를 추구하고 놀이를 지속 하며 자신의 삶을 더욱 풍성하게 가꾸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연극놀이
2. 장소와 장소감
3. 장소특정적 예술
Ⅲ. 연구방법
1.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2. 연구 참여자
3. 연구 절차
Ⅳ.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제
1. 프로그램의 개발
2. 프로그램 과정안
3. 프로그램의 실제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