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s to look into the phenomena of the fortified borderless characteristics in the classroom-theatre. Students play both roles as performers and spectators, which is a peculiarity of classroom-theatre. Another features differing the classroom-theatre from performances in the theatre are short-term preparation, and untrained amateur actors. Classroom-theatre is a part of the curriculum at school, and short amount of time is alloted. Consequentially writing a text, rehearsing, and setting a stage are processing at roughly the same time because of the time lack. This causes poor quality of acting in the performance and interrupts to concentrate on acting. The last feature focused is a unsettled space for the theatre. The stage in the classroom-theatre is the classroom itself. This means that there is no physical division between classroom as a stage and classroom as a living space. As a result, great and small real life events may often interrupt the performance. These traits are blended and streng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atrical borderless in the classroom-theatre. The fiction of the play is mixed up with the reality of the classroom on account of the unstable theatre space. In addition, the border between performers and audience is blurred. The spectators feel performers as more friends rather than actors when these cannot keep focusing in acting. The fortified characteristics of theatrical borderless might lower the level of completion as a performance which is not crucial in the classroom-theatre. Active interference between fiction & reality, and between acting & spectating that is sprung from the borderless characteristics of classroom-theatre can promote to feel sympathy more deeply, which helps to learn the subject more sensuously.
한국어
교실연극에서 관찰되는 연극적 탈경계화의 강화 배경과 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학생들이 서사 속 허구적 인물로서의 행위자, 그 행위를 보는 관찰자로서의 역할을 맡는 교실연극은 전문 배우가 연행하 는 극장연극과 연극성을 공유하면서도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첫째, 교실연극은 교과 교육의 일부로 수행되기 때문에 준비 기간이 단기적이다. 대본의 창작, 리허설, 장치 설치가 거의 동시에 진행된다. 둘 째, 배우를 수행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배우로서의 사전 훈련이 전무한 상태로 비전문적이다. 여기에 연 습 시간의 부족까지 더해져서 연기적 수행력은 떨어지게 된다. 셋째, 극장으로 사용되는 교실은 다기능 적이며 개방적이어서 극적 공간으로서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교실은 학생들의 일상 공간이기 때문에 극 적 공간이 현실 공간의 간섭을 수시로 받게 된다. 이러한 요소들이 서로 복합적으로 간섭하면서 연극적 탈경계화의 특성을 강화시키게 된다. 서사의 허구 와 교실의 일상 구분을 혼돈스럽게 하며, 연기를 하는 행위자와 그것을 보는 관찰자의 구별을 모호하게 한다. 연기어(演技語)와 일상어의 지위가 혼재되며, 배우와 관객의 관계는 교실 속 교우 관계와 뒤섞인 다. 교실연극의 관객은 연극을 수업 중의 특별한 활동으로 여기면서 극중 배우를 낯선 활동을 하는 친구 정도로 인식하기도 한다. 또 교실의 실제적 사건이 연극을 중단시키거나 변형시키기도 한다. 이런 특징 은 교실연극의 연극 기술적 완성도를 낮추기도 하지만, 연극적 탈경계화의 강화로 인한 현실과 허구, 행 위와 관찰, 주체와 객체의 적극적 교차는 학생들의 공감을 강화하고 체험을 다각화하면서 교과 내용을 감각적으로 수용하게 한다.
목차
Ⅰ. 시작하며
Ⅱ. 연극적 완성도 측면에서 바라본 교실연극
1. 교실연극 준비의 단기성
2. 교실연극 배우의 비전문성
3. 교실연극 공간의 불안정성
Ⅲ. 교실연극의 탈경계화
1. 허구와 일상의 탈경계화
2. 행위자와 관찰자의 탈경계화
Ⅳ. 연극성에서 비롯하는 교육적 효과
Ⅴ.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