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거이론을 활용한 장소자산의 주민 인식 연구 - 서울 강동구 강풀만화거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sidents' Perception of Place Assets Using The Grounded Theory - Focused on Kangfull Cartoon Street in Gangdong-gu, Seoul

김유선, 이희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local residents's perception living in places formed by external factors and focused on Kangfull Cartoon Street in Seongnae-dong, Gangdong-gu. It was intended to examine how residents interact with places and what factors are affecting residents' perception.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procedure of the grounded theory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was applied. In open coding, 106 concepts, 21 subcategories, and 12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In axis coding, the types of categor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ix stages of the grounded theory and interpreted within the paradigm process. As a core category, place percep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change was deriv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idents' perception depends on the experi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economic environment, and the social environment. Second, actualized experience has an advantage over superficial experience in place perception. Third, the continuous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administration allows tourist destinations and living spaces to coexist properly. Fourth,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the project implementation method of village murals and to review various ways in the formation of place assets.

한국어

본 연구는 외재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 장소에 살고 있는 지역 주민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로 연구대상지는 강동구 성내동 강풀만화거리이다. 주민들이 장소와 어떻 게 상호작용하고 있으며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안한 근거이론의 절차를 적용하였다. 개방코딩에서 106개념, 21개의 하위범주와 12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축 코딩 에서는 근거이론의 6단계에 따라 범주들의 유형을 분류하고 패러다임 과정 안에서 해석하였다. 핵심 범주로는 변화의 경험을 통한 장소 인식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가지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들의 인식은 물리적인 환경, 경제적인 환경, 사회적 환경의 경험에 따라 달라진다. 둘째, 장소의 인식에 있어 실체화된 경 험이 피상적인 경험보다 우위에 있다. 셋째, 행정의 지속적인 유지관리는 관광지와 생활공간이 적절하게 공존할 수 있도록 작용 한다. 넷째, 마을 벽화가 가지는 사업 추진 방법의 한계성을 살펴보고 장소자산 형성에 다양한 검토가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대상
Ⅱ. 이론적 고찰
1. 장소와 장소성
2. 장소자산
3. 관련 연구 동향
Ⅲ. 연구대상지 이해
1. 성내2동 지역 현황
2. 강풀만화거리 추진 과정
Ⅳ. 연구방법
1. 근거이론
2. 자료수집 및 절차
Ⅴ. 연구결과
1. 개방코딩
2. 축 코딩 (패러다임 모형)
3. 선택코딩
Ⅵ. 연구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유선 Kim, Yousun.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박사과정 수료
  • 이희정 Lee, Heechung.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