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지적 유연성과 자살 행동의 관계에서 부정적 / 긍정적 해석편향과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 : 20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Positive Interpretation Bias and Depression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Suicidal Behavior in their 20s

정해준, 이종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uicide is a serious issue for young adults in Korea. Over the past 18 years, suicide has been first leading cause of death for 20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negative/positive interpretation biases and depression are sequentially mediate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suicide behavior in 20s. To investigate mediation effect, partial mediation model and full mediation model were compared. Part B of Trail making Task was used to measure cognitive flexibility. Similarity Rating Task was performed for detect negative/positive interpretation biase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 9 depression scale and Suicidal Behavior Questionnaire - Revised were conducted to measure depression and suicidal behavior.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ull mediation model is confirmed as the optimal model. The full mediation model was consisted cognitive flexibility which was independent variable, suicidal behavior which was dependent variable, and negative/positive interpretation biases and depression which were mediate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sequentially. Indirect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on depression and suicidal behavior through each of negative/positive interpretation biases was significant. The result showed that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the model. The Present study provides low cognitive flexibility does not directly affect suicidal behavior but indirectly affects suicidal behavior in a way that increases negative/positive interpretation bias and depression sequentially.

한국어

전 세계적으로 해마다 7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자살로 사망하며, 특히 국내에서는 자살이 18년간 20대의 사망 원인 1 위를 차지하여 젊은 성인에게서 더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살의 심각성이 큰 20대를 대상으로 편향된 정보 처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질적 변인인 인지적 유연성이 자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정적/긍정적 해석편향 과 우울이 차례로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인지적 유연성을 측정 하기 위하여 선 추적 검사(Trail Making Task)의 선로 B를 사용했고, 해석편향을 측정하기 위해 유사성 평정 과제 (Similarity Rating Task)를 사용했다. 환자 건강 질문지 9문항 우울척도(Patient Health Questionnaire - 9 depression scale)를 사 용하여 우울을 측정했고, 자살 행동 측정에는 자살 행동 척도 개정판(Suicidal Behavior Questionnaire - Revised)을 활용했다. 완전매개모형이 부분매개모형보다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독립변인은 인지적 유연성, 종속변인은 자살 행동, 매개 변인은 차례로 부정적/긍정적 해석편향과 우울로 하는 완전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인지적 유연성이 부정적 해석편향 및 긍정적 해석편향 각각을 경유하여 우울을 거쳐 자살 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여 모형의 완전매개효과가 나 타났다. 즉, 인지적 유연성이 낮을 때, 부정적 해석편향이 증가하며, 부정적 해석편향이 증가할수록 우울해지고, 자살 행동도 증가하였다. 또한 인지적 유연성이 높을 때, 긍정적 해석편향이 증가하고, 보다 긍정적 해석편향을 할수록 덜 우울해지고 결과적으로 자살 행동도 줄어들었다. 이러한 결과는 낮은 인지적 유연성이 자살 행동에 직접 영향을 주기 보다는, 부정적인 해석편향과 긍정적인 해석편향을 거쳐 우울에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자살 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연구 절차
자료 분석
결과
기술통계
인구통계학적 특성
편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모형 및 부트스트래핑 분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정해준 Haejun Jeong. 강원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뇌신경임상심리실
  • 이종선 Jong-Sun Lee. 강원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