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논문

朝鲜朝文人卢以渐与清蒙古族学者博明交流初探

원문정보

The first exploration of the exchange between No YiJeom, the literati of the Korean Dynasty, and Bo Ming, the Mongolian literati of the Qing Dynasty

조선조문인로이점여청몽고족학자박명교유초탐

杨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1780, No YiJeom, a literati of the Korean dynasty, met and communicated with Bo Ming, a Mongolian literati of Qing dynasty literati . In No YiJeom's “Su Sa Rok”, Bo Ming's resume, lineage and appearance were all involved, which could complement the shortage of academic circles. Through the exchange of Neo-Confucianist ideas between the two people, One can gather that Bo Ming respected Cheng Zhu's Neo-Confucianism. His ideological tendency reflected the history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Neo-Confucianism and the heart-mind theory in the early Qing dynasty. And his Neo-Confucianist view coincided with No YiJeom; The concept of Bo Ming’s literature theory is closely related to the literature theory of the eight master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at the same time, Bo Ming accepted the influence of the Tongcheng faction. He and No YiJeom held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as the view of the classics, which reflected the rising academic trend of literature and classics during the Qianlong period. No YiJeom praised Han Yu and Liu Zongyuan, which not only circuitously reflected the debate about the creation methods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but also reflected his idea of focusing on Tang in the field of literary creation. His view on the Book of Rites reflected the adherence of Korean Neo-Confucianism to "etiquette".

한국어

1780년 조선조의 문인 노이점(盧以漸)은 청나라 몽고족 학자인 박명(博明)을 만나 벗으로 삼고 교유하게 되었다. 노이점의 『수사록(隨槎録)』에는 박명의 이력과 세계(世系) 및 그의 외 모에 대해 두루 언급하였는데 학계에서 진행된 박명에 대한 연구를 온전히 매울 수 있게 되었다. 두 사람은 이학사상(理學思想)에 관해 광범위한 교류를 진행하였는데 이로써 박명 또한 정주이학을 매우 존숭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그의 사상적 경향에는 청나라 초기의 이학인 심학(心學)을 둘러싼 격렬한 논쟁이 투영되어 있음을 가늠할 수 있다. 박명의 문학창작에 관 한 이념은 당.송 8대가의 문학이론과 밀접히 연계되어 있으며, 동시에 동성파(桐城派)의 영향 을 크게 받았다. 그는 노이점과 마찬가지로 『춘추(春秋)』를 경학으로 인정하였는데, 이를 통 해 건륭(乾隆)시기에 흥기된 금문경학(今文經學)의 학술적 경향을 엿볼 수가 있었다. 노이점 은 또 한유(韓愈)와 유종원(柳宗元)에 대해서도 절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는 창작방법에 관해 서 진행된 조선조 문단의 논쟁이 간접적으로 반영되었을 뿐만 아니라, 문학창작에서 당나라 를 종주(宗主)로 삼는 노이점의 이념도 잘 표출되고 있었다. 그리고 그가 『예기(禮記)』에 대 한 인식은“예(禮)”에 대한 조선 이학의 확고한 수호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목차

국문요약
1. 序论
2. 博明生平撷要及补阙
3. 卢以渐与博明笔谈内容探析
1)哲学思想和文学认识的宏观探讨
2)儒家经典和文学理念的深度交流
4. 结论
参考文献
Abstract

저자정보

  • 杨昕 양흔. 延边大学朝汉文学院汉语言文学专业副教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