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 논문 : 연변조선족 자치주 건립 70년, 조선족의 유산과 과제

조선어문 교과서에 나타난 중국 조선족의 민족 정체성 표상 방식의 변화 - 2007-2011년 판과 2021-2022년 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Way of Representing Ethnic Identity of the Korean-Chinese in China in Chosun Language Textbook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2007-2011 edition and the 2021-2022 edition -

이은홍, 한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hrinkage of Chosun language education for Korean-Chinese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by comparing the ways of representing ethnic identity in the 2007-2011 editions and the 2021-2022 editions of the Chosun language textbooks. The representation of ethnic identity in Chosun language textbooks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subject matter of 'the history of migration and residence of Koreans/Korean-Chinese' and 'the succession and acceptance of Korean ethnic culture'. The former includes the representation of the anti-Japanese war, mobility, self-reliance, and pride. In the old version(2007-2011), the anti-Japanese war was a war for the independence of the Korean peninsula, but in the new version(2021-2022), the anti-Japanese war becomes a symbol of national identity in the context of China's patriotism and internationalism. In the old version, the history of settlement, self-reliance, and cultural pride of the Korean-Chinese who migr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are shown, while the new version clearly reveals the history of Korean-Chinese immigrants to China, but the pattern of migration and settlement from the Korean Peninsula is abstracted. In the latter, the historical nature of the Korean culture is revealed through literature and ethnic culture before liberation, and the aspect of sharing the Korean culture is reveale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fter liberation. In the old version, it accepted various pre-liberation Korean ethnic cultures that can prove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anti-imperialist and anti-feudalism oriented socialist ideology, and had a valuable status as the Korean ethnic culture. In the new edition, texts before liberation have been greatly reduced, and the culture of the Korean people is treated in terms of knowledge rather than values. In the old versio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shared similarities between the Korean-Chinese and their homeland, as well as similaritie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ut the new version contains texts that can be understood without a cultural background about North Korea and South Korea.

한국어

이 연구는 중국 조선족의 조선어문 교과서 2007-2011년 판과 2021-2022년 판에 나타난 민족 정체성 표상 방식을 비교함으로써, 시진핑 시기에 조선족의 민족어교육의 위축 양상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어문 교과서는 민족 정체성 담론과 소수민족 교과서 정책의 배경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민족 정체성 담론의 측면에서 조선어문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 정체성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한반도의 국민국가 단위에서 모색되는 민족 정체성과 변별되면서도 혼효된다는 점, 조선어문 교과서는 민족의 언어문화 교육 자료이면서도 국민 정체성 형성의 목적도 달성해야 하는 국정교과서이기에 국민 정체성과 민족 정체성의 역학 관계가 나타난다는 점, 조선어문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 정체성은 변화한다는 점이 그것이다. 또한 시진핑 시기의 소수민족 교과서 정책 측면에서 초중등 소수민족언어 교과서에 대한 교육 행정부의 관리가 강화되고 있고, ‘삼과통편교재(三科統編教材)’, 푸퉁화(普通話) 교재 보급으로 인해 국정 교과서의 채택 비율이 확대되는 배경 속에서 조선어문 교과서가 편찬되고 사용되고 있다. 조선어문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 정체성 표상을 ‘조선족의 이주와 거주의 역사’와 ‘조선민족 문화의 계승과 수용’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조선족의 이주와 거주의 역사’에는 항일전쟁과 조 선족이 갖는 특수성으로서 모빌리티, 자생력, 자부심의 표상이 속한다. 구판(2007-2011년 판)에서 항일전쟁은 한반도 조국의 독립을 위한 전쟁이었지만, 신판(2021-2022년판)에서 항일전쟁은 중국의 애국주의와 국제주의의 맥락에서 국민 정체성의 표상이 된다. 구판에서는 한반도로부터 이주해 온 조선족 정주의 역사, 자생력과 문화적 자부심이 나타나 있지만, 신판 에서 조선족이 중국으로 귀속된 역사는 명확히 드러나 있지만 한반도로부터의 이동과 정착의 양상 등이 추상적으로 나타나 있다. ‘조선민족 문화의 계승과 수용’의 측면에서 조선민족 문화 의 역사성은 해방 이전의 문학, 민족 문화 등을 통해 드러내며, 조선민족 문화의 공유 양상은 해방 이후 북한 및 한국과의 관계를 통해 드러난다. 구판에서는 반제·반봉건 지향의 사회주 의 이념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증명할 수 있는 다양한 해방 이전의 조선민족 문화를 수용하며, 조선민족의 문화를 가치 있는 것으로 표상했지만, 신판에서는 해방 이전의 작품이 대거 축소 되었으며 가치보다는 지식의 차원에서 조선민족의 문화가 다루어지고 있다. 구판에서는 북한 과 한국이 중국 조선족과 고국, 과거와 현재의 유사한 세태 등을 공유하고 있었지만, 신판에 서 북한과 한국에 대한 문화적 배경 없이도 이해 가능한 작품이 수록되며 중국 조선족과의 공유 가능한 지점이 축소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목차

국문요약
1. 들어가며
2. 조선어문 교과서의 담론적·정책적 배경
3. 조선어문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 정체성 표상의 변화 양상
4.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은홍 Lee, Eunhong. 순천대학교 국어교육과 조교수
  • 한담 Han, Dam.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 및 전남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