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논문

동학의 현대화 - 동학 문헌의 현대어 변환 현황 -

원문정보

Modernization of Donghak : Current Status of Modern Language Conversion of Donghak Literature

임상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modern language conversion of Donghak literature and to find necessary alternatives. The modernization of Donghak is almost the only way the core values of Donghak can reach the general public. Among them, the modern language conversion of Donghak literature is essential.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literature research, digital data in various fields, statistics, and some media reports were us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first, about the current status of translation of major religious documents active in Korea. These include modern language translations of Catholic, Buddhist, and Islamic and some ethnic religious texts. Second, it is about the modernization status of Donghak literature language. Here,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ranslations of literature provided by the Chondogyo denomination and the translation results presented by individual research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work of translating Donghak literature into modern languages is neither continuous nor organized compared to the translation status of global religious literature. Second, nevertheless, various modernization studies at the individual level are encouraging. Although not the entire literature, it may be possible to share the core values of Donghak with the public through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main concepts of Donghak.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 문헌의 현대어 변환 현황을 진단하고, 필요한 대안을 모색하려는 데에 있다. 동학의 현대화는 동학의 핵심 가치가 일반 대중에게 다가갈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다. 그중에서도 동학 문헌의 현대어 변환 작업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 및 다양한 분야의 디지털 데이터, 그리고 통계 및 일부 언론 보도 등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국내에서 활동하는 주요 종교의 경전 번역 현황에 대해서이다. 여기엔 천주교와 불교, 그리고 이슬람 및 일부 민족종교의 경전 한국어화 현황이 포함된다. 둘째, 동학 경전 언어의 현대화 현황에 대해서이다. 여기엔 천도교 교단에서 제공하는 경전 번역과 개별 연구자들이 내놓은 번역 성과물 사이에 놓인 각각의 차이점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동학 경전의 현대어 변환 작업은 글로벌 종교의 경전 번역 현황과 비교할 때 지속적이지 않고, 조직화 된 상태도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그럼에도 개인 차원의 다양한 현대화 연구는 고무적이다. 비록 문헌 전체는 아니더라도, 동학의 주요 개념에 대한 현대적 해석을 통해 대중과 함께 동학의 핵심 가치에 대한 공유가 가능할 수 있다.

목차

국문 초록
1. 들어가는 말
2. 국내 활동 종교의 경전 현대어화 현황
1) 불교
2) 이슬람교
3) 천주교
4) 로컬 민족종교: 원불교, 대종교
3. 동학 문헌의 현대화
4. 동학 주요 개념의 현대화: 실험적 시도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상욱 Sangwook Yim. 숙명여대 기초교양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