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대학 졸업자가 인지하는 진로장벽이 니트에 미치는 영향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that four-year college graduates experience on falling into NEETs in Korea. Data were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8 who graduated from colleges of Education and four-year universities and were under 30 years old. A total of 13,596 respondents were analyzed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ordinary least squares, and logistic regression. For career barriers, responses on a five-point Likert scale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experience career barriers or not experienced) and summed up as an indicator ranged 0 (Min.) to 9 (Max.). Findings revealed that lack of social support and care (27.1%) and lack of career plans were the top two types of career barriers. About 58.2% did not experience career barriers (indicator = 0), and 0.1% extremely experienced career barriers (indicator = 9). Female graduates experienced more career barriers than male graduates. As their ages get close to 30, the degree of career barriers decreases. About 40% experienced at least one type of career barriers. About 19.5% were NEETs, and female graduates (21.9%) were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17.5%). Geographically, there were the least NEETs in Seoul and most in Gyungsang. For majors, there were the least NEETs in the medical field and most in humanity and social science. Respondents who wanted to change their majors if they could have more probability of falling into a NEET, while those who were satisfied with career education as students were less likely to become a NEET. Based on th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우리나라 대학생 졸업자가 경험하는 진로장벽의 현황, 니트로 전 향하는 경향 및 진로장벽이 니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대졸자직업이 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8)이며, 교육대학 및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30세 미만인 총 13,596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일반선형회귀 분석(OLS), 로짓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장벽의 현황은 ‘사회적으로 관심과 지원 부재(27.1%)’와 ‘취업계획 부재(19.6%)가 높게 나타났다. 진로 장벽지수를 0에서 9까지로 변환하였을 때, 58.2%가 0으로 나타나 진로장벽을 겪지 않았고, 0.1%가 9점을 나타내었다. 여자가 남자보다 진로장벽을 더 많이 경험하였고, 연령이 올라 갈수록 진로장벽이 감소하였다. 진로장벽지수는 인문계열과 자연계열이 높았고, 교육계열 이 가장 낮았다. 니트현황은 평균 19.5%가 니트로 나타났으며, 여자(21.9%)가 남자(17.5%)보 다 니트비율이 더 높았다. 서울권의 대학졸업자의 니트가 더 적었고 경상권이 가장 많았 다. 의약계열이 니트가 낮았고, 교육계열과 인문계열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성별로 남자는 나이가 많을수록 니트 가능성이 체계적으로 높아지나, 여자는 연령증가에 따라 니트 가능 성이 감소하였다. 대학의 진로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니트 가능성은 낮아졌다. 끝 으로, 대학졸업자의 진로장벽의 노출과 니트화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 인지적 진로 이론과 대학생의 진로장벽 및 진로결정수준
2. 니트(NEET)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2. 연구 변수
3.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분석 결과
2.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3. 니트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