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Metaphors of Synthetic Biology and Its Limitations in Meaning Transmission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oint out the necessity to understand the two sides of synthetic biology socially balanced by examining the metaphors used in academia. The contents and limitations of typical metaphors are as follows: First, the metaphor of ‘book'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genetic information as an object to be read, written, and edited. Also, the metaphor of 'machin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mass production of useful substances in cells or microorganisms. At this time, questions on the accuracy of editing and the feasibility of synthesis are obscured, and there is a perception that life can be handled freely. Second, in Korea, without mentioning life, the use of machine metaphor and the emphasis on advanced facilities with AI are confirmed. As a result, economic feasibility is highlighted beyond consideration of social issues. Third, in research at the microbial level, it is necessary to have a critical awareness on synthesizing life. The popular consideration of microorganisms as lower creatures is likely from the concept of ‘the great chain of being.’ It is up to all members to judge the social acceptance on synthetic biology. General readers and researchers need to pay attention with responsibility for the use and interpretation of the metaphors.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국내외 합성생물학계에서 활용돼온 은유의 사례와 특성을 검토함으로써 이 분야의 양 면성을 사회적으로 균형감 있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는데 있다. 대표적인 은유의 내용과 한계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생명체는 책’ 은유는 유전정보를 읽고, 쓰고, 편집할 수 있는 대상으로 인식하게 한다. 또한 ‘생 명체는 기계’ 은유는 세포나 미생물에서 유용 물질의 대량생산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때 편집의 부정확성과 합성 의 실현가능성에 대한 의문은 가려지고, 생명체를 자유롭게 다룰 수 있다는 인식이 발생한다. 둘째, 국내의 경우 생명체라는 언급 없이 기계 은유의 사용과 인공지능이 활용된 첨단시설의 강조가 확인된다. 그 결과 윤리문제나 안전성에 대해 고려할 여지가 없이 주로 경제성이 부각된다. 셋째, 미생물 수준의 연구에서도 생명체를 합성하는 행위에 대해 비판적 문제의식을 갖출 필요가 있다. 미생물을 하등생명체로 여기는 통념은 ‘존재의 대사슬’ 개념의 영향을 받은 결과물로 볼 수 있다. 합성생물학의 사회적 수용에 대한 판단은 구성원 모두의 몫이다. 연구자는 물 론 일반 독자는 은유의 사용과 해석에 적극적인 책임감을 갖고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서구 합성생물학계의 주요 은유와 문제점
Ⅲ. 국내 정부주도 연구개발사업에서의 은유 특성
Ⅳ. 미생물의 생물학적 지위에 대한 재인식의 필요성
Ⅴ. 고찰
Ⅵ.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