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원문정보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정수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Using data from the 15th Korea Welfare Panel in 2020, 3,910 people who responded that they had chronic diseases over the age of 65 were analyzed with stepwise regressions. As a result,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were in the order of satisfaction with leisure life, subjective health status, satisfaction with children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family income, satisfaction with spouse.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model was 32.0% (F=351.44 p<.001). And also,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were in order of subjective health status, satisfaction with spouse,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leisure life,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income.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model was 21.4% (F=178.59, p<.001). Therefore, policy systems to support leisure life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and measures to induce participation in programs using community resources are needed. And health management programs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improve subjective health status are also need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economic support at the national policy level and various program execution strategies and support personnel will be secured at the community level.

한국어

본 연구는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들의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2020년 15차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65세이상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한 3,910명을 대상으로 단계적 회귀분 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가생활 만족도, 주관적 건강상태, 자녀관계 만족도, 가족수입 만족도, 배우자 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의 설명력은 32.0%이다 (F=351.44 p<.001). 또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 배우자 만족도,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 자 녀관계 만족도, 여가생활 만족도, 가족수입 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의 설명력은 21.4%(F=178.59, p<.001)이 다. 따라서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여가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과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프로그램 참여 유도책이 필요하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를 높이기 위한 건강관리 프로그램, 제도적 지원 등도 필요하다. 그 외 국가적 정책 차원의 경제적 지원, 지역사회 차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 실행전략과 지원 인력이 확보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자료수집 및 연구대상
2.3 연구 변수
2.4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일반적 특성
3.2 주요 변수의 정도와 상관관계
3.3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정수경 Su Kyoung Chung.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 간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