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 융합(TC)

공공디자인의 관점에서 본 지자체의 메타버스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Metaverse Space in Local Gover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Design

최재원, 여준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andemic over the past three years has brought drastic changes in our lives, and those changes are now becoming a natural part of our daily lives. Daily life and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online, such as video conferencing, remote classes, telecommuting, and online streaming services, have become daily routines after Corona. And the result of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graphic technology is the metaver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ossi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design for the correct use of the metaverse space of local governments. To this end, in this study, big data analysis was performed on 'local government', 'public design', and 'metavers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should actively use metaverse with high topic and potential as a space for local governments' promotion or discussion as a means to restore the reliability of local governments and overcome negative perceptio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flect public design in order to increase the public reliability of local governments' metaverse.

한국어

지난 3년간의 펜데믹은 우리 생활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고, 그 변화가 이제는 자연스러운 일상이 되고 있다. 화상회의, 원격수업, 재택근무,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등의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일상생활 및 경제 활동은 코로 나 이후의 일상이 되었다. 그리고 통신 및 그래픽 기술의 급격한 발전의 결과물이 바로 메타버스이다. 이러한 ‘메타버 스 열풍’에 편승해 정부와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메타버스 내 공공 공간’을 생산해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자 체의 메타버스 공간의 올바른 활용방안을 위해 공공디자인의 관점에서의 가능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공공디자인`, `메타버스`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우 리는 지자체의 신뢰성을 회복하고 부정적 인식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높은 화제성과 가능성을 지닌 메타버스를 지자체의 홍보나 토론의 공간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자체 메타버스의 대중적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공공디자인의 적극적인 반영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Ⅱ. 공공디자인과 메타버스
1. 공공디자인
2. 메타버스
Ⅲ. 지자체 메타버스의 연관어 조사
1. 연관어 조사
2. 지자체·공공디자인·메타버스의 연관어 비교분석
Ⅳ. 공공디자인의 관점에서 본 지자체 메타버스 공간의 활용
1. 조사결과 분석
2. 소결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최재원 Choi Jae-won. 정회원, 경운대학교 안전방재공학과 조교수, 건축사
  • 여준기 Yeo Joon-ki. 정회원, 경운대학교 건축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