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comparison study of Nursing Process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between Clinical Practicum and School Practicum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nursing process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between clinical practicum and school practicum in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As an inequality control post-hoc design study, 55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mong the third yea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took adult nursing practice were targeted. Data were collected by classifying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chool practicum into the experimental group(N=29) an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inical practicum into the control group(N=2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2.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ing process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overall satisfaction with education (t=-9.82, p=.040) and recommendations to other students (t=-1.88, p<.001)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Although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um and school practicu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ould be found in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line with the post-corona era, futur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practicum program consisting of variou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practice to achieve the goal of practicum and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s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는 장기화되고 있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임상실습과 교내실습 교육 간 간호과정 자신감, 비판적 사고 성향, 교육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 연구로 성인간호학실습 을 수강한 간호대학생 3학년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55명을 대상으로 교내실습에 참여한 학생을 실험군(N=29), 임상 실습에 참여한 학생을 대조군(N=26명)으로 분류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간 간호과정 자신감과 비판적 사고 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대조군 에서 교육 전반에 대한 만족도(t=-9.82, p=.040) 및 타 학생에게 추천(t=-1.88, p<.001)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록 본 연구의 결과로 임상실습과 교내실습 효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추어 실습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콘텐 츠와 교수법, 실습으로 구성된 실습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프로그램의 효과분석에 대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5.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
2. 임상실습과 교내실습 간의 간호과정 자신감, 비판적사고 성향 비교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