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motional Experiences of Adult Women with Childhood Trauma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in-depth emotional experiences influenced by childhood trauma of adult female survivor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arried adult women who experienced trauma in their childho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7 categories were derived: 'children who cannot protect themselves', 'childhood trauma,' 'insecure attachment and good child syndrome,'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ifficulties in raising children,' 'somatization symptoms,' 'finding myself who is lost.'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children in the famil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growth experience of healing them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two cases of trauma. The foundation for healthy ego-resilience and emotional well-being has been lai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on negative and maladaptive emotional experiences reflected throughout the life of adult women who suffered childhood trauma.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트라우마를 겪은 성인여성 생존자의 트라우마 영향으로 인한 정서경험에 대하여 심층적 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기에 트라우마를 겪은 기혼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수 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신을 지킬 수 없는 아이’, ‘트라우 마된 아동기 외상’, ‘불안정애착과 착한아이 증후군’, ‘대인관계의 어려움’, ‘자녀양육의 어려움’, ‘신체화증상’, ‘잃어 버 린 나를 찾아서’ 의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양육자로부터 직접 학대를 경험한 외상과 동생 의 사고를 목격 경험한 가족인 형제의 외상이 트라우마로 진행하는 두 사례를 비교와 대조를 통해 가족내에서 자녀 들이 겪어야만 했던 심리 내적인 경험과 부모와 아동기에 형성된 불안정 애착으로 인한 관계외상과 이를 치유해 가 는 성장 경험을 이해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아동기 트라우마를 겪은 성인여성들의 삶의 전반에 반영된 부정적 부적응 적 정서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해 건강한 자아 회복과 정서적으로 잘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 다고 볼 수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이해
1. 아동기 트라우마 개념과 치유 이해
2. 정서 개념과 EFT 이해
Ⅲ. 아동기 트라우마 성인여성의 정서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1. 연구방법
2. 연구문제
3. 연구참여자 선정과 특성, 윤리적 고려
Ⅳ. 결과
1. 구성요소 진술
2. 상황적 의미 구조 진술
3. 일반적 구조 진술
Ⅴ. 토론
1. 아동기 트라우마 성인여성의 정서적 본질은 어떠한가?
2. 아동기 트라우마 성인여성의 상담심리학 학습 경험이 트라우마 치유와 정서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Ⅵ.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