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청년층 취업자 및 미취업자 노동시장 이동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ovement of the Young Employed and Unemployed in the Labor Market

장유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Korea, youth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nd unemployment appear at the same time, which is a more serious problem, so a study on the labor market movement can be viewed as a study to overcome youth unemploy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labor movement between the employed and the unemployed is progressing through the survey data of the youth panel among the employment panel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movement path and movement of the employed and the unemployed. In the case of the employed, they possessed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nd in the case of unstable occupational status, they attempted to move to a stable position after being employed. In the case of the unemployed, the probability of failing to find a job was higher as they had no job search experience, the longer the job search period, and the less effort they made. The fact that the home environment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s the movement of the labor market remains unchanged.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the more stable, and the most stable the metropolitan area. Therefore, more urgently than ever, a plan to revitalize the local labor market through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local industry, and local universities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should be sought.

한국어

우리나라 청년층에서는 경제활동참가와 실업이 동시에 나타나면서 더욱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어 노동시장이 동에 대한 연구는 청년층의 실업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고용패널 중 청년패널조사 자료를 통해 청년층 취업자와 미취업자의 노동이동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살펴보고, 취업자와 미취업자의 이동 경로와 이동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취업자의 경우 전문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고, 안정적이지 않은 종사상 지위의 경우 취업 후에도 안정적인 지위 변화를 위해 노동이동 노력하였으며, 정규직이어도 적성과 일치하지 않으면 비정규직을 택하기도 하였으며, 평균임금이 노동이동의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미취업자의 경우 일자리 경험이 없거나, 구직활동기간이 길어질수록, 취업노력을 하지 않을수록 미취업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업의 경우 개인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부모의 학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정환경이 직·간접적 으로 노동시장 이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은 여전하였다. 한편 학력이 높을수록 안정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수도권지역에 안정형이 가장 많았다. 이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의 산업체, 지역대학의 유기적인 관계 를 통한 지역노동시장의 활성화 전략이 지역균형발전과 더불어 어느 때 보다 시급하게 모색되어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고찰
1. 노동이동 이론
2. 직업탐색 이론
3. 사회네트워크 이론
4. 인적자본 이론
Ⅲ. 연구방법
1. 변수설명
2. 연구대상
3. 연구모형
Ⅳ. 연구결과
1. 취업자
2. 미취업자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장유미 Yu Mi Jang. 정회원,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