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노인의 무릎통증과 인지기능 간 영향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성별, 연령, 학력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nee Pain and Cognitive Functions in Older Adults : Focusing on Group differences by Gender,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주미라, 강창현, 육경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knee pain on cognitive functions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and a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mechanisms, confirmed the identifying group differences by gender,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of older adults, and aimed to research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s, which is a main factor of dementia’s risk prediction. The analysis data was from the 8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in 2020,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using Process macro and model #4.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partially mediation effect of knee pain on cognitive functions. Second,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by gender was significant, but the direct effect in the male older adults group was twice that in the female older adults; the indirect effect did not vary significantly based on gender.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by age was relatively greater in the old-old aged group than in the young-old aged one. Fourth, as for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attainment, the mediating effect was not significant in the group with a college degree or higher education but was significant in the remaining three sub-group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makes implications for the need for a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s, focusing on group differences by gender,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 management of knee pain and depression.

한국어

본 연구는 노인의 무릎통증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신체와 심리적 기 제 간의 융합연구로 노인 인구의 성별, 연령, 학력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확인하여 치매의 위험예측 요인인 인지기능 개선에 연구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2020년 제8차 고령화연구패널(KLoSA) 자료이며, Process macro, model 4번 을 활용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은 무릎통증과 인지기능 간 영향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직접효과는 남 성노인이 여성노인의 두 배이며, 간접효과는 성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에 따른 우울의 매개 효과는 후기노인 집단이 전기노인 집단에 비해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력 구분에 따른 우 울의 매개효과는 대학교 졸업 이상 집단의 경우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3개 하위 집단 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검증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인지기능 개선을 위해서는 무릎통증과 우울관리에 대한 성별, 연령, 학력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적극적 개입 전략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모형 및 가설 설정
2. 연구 대상
3. 측정도구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기술통계분석 결과
3. 상관관계분석 결과
3. 가설 검증 결과
4. 가설 검증 결과 요약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주미라 Ju Mee-Ra. 정회원, 단국대 대학원 보건학과 박사과정
  • 강창현 Kang Chang-Hyun. 정회원, 단국대 공공정책학과 교수
  • 육경수 Youk Kyoung-Soo. 정회원, 단국대 대학원 보건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