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넷아트 큐레토리얼 방법론

원문정보

Curatorial Methods of Net Art

임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ntends to focus on the practical activitie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network art, that is, 'net art' as an artistic form that depends on network technology. This is because the appearance of net art, which constructs a new interactive art that cooperates and exchanges with each other beyond the boundaries of time and space, can be a contemporary alternative in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art. Another important research area to be considered in this paper is net art curating, as well as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net art in art history. As new media art that is defined as a 'process' rather than a complete object, net art is a digital art that requires functions such as aesthetic appropriation, dissemination, and mediation performed online, unlike physical presentations with high perfection in exhibition halls. It is accompanied by a new social and cultural curatorial. This appearance requires both artists and curators to reorganize the strategy that net art curating in technoculture should have.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question the creative strategies of net art in the wave of globalization in the 21st century, and to examine the artistic meaning and critical value of the experimental net art curatorial method that emerged through the realm of new technology and media. For this purpose, this paper demonstrated key examples of net art works and exhibition projects that started with Fluxus in the 1960s and are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in the 2000s.

한국어

본고는 네트워크 테크놀로지에 의존하는 예술적 형식으로서 네트워크 아트, 즉 ‘넷아트’의 실천적 활동과 그것 의 시대적 의의에 주목하고자 한다. 시공의 경계를 넘어서 서로 협력하고 교환하는 새로운 대화적 예술을 구축하는 넷아트의 모습은 전통 예술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있어서 동시대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넷아트의 미술사적 의의에 대한 고찰 못지않게 본고에서 고려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연구 분야는 넷아트 큐레이팅이다. 완결된 하나의 대상이 아닌 ‘프로세스’로서 규정되는 뉴미디어아트에 속하는 넷아트는 전시장에서의 완성도 높은 물리적 프 레젠테이션과 달리, 온라인에서 행해지는 미적 전유·보급·매개 등의 기능을 필요로 하는 디지털시대의 새로운 사회· 문화적 큐레토리얼을 동반하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예술가와 큐레이터 모두에게 테크노문화에서의 넷아트 큐레이팅 이 갖추어 나가야 할 전략의 정비를 요구한다. 따라서 본고는 21세기 전지구화의 물결에서 넷아트의 창의적인 전략은 무엇인지 질문하고, 새로운 테크놀로지와 미디어의의 영역을 통해 등장한 실험적인 넷아트의 큐레토리얼 방법이 생산 한 예술적 의미와 비평적 가치를 점검하고자 한다. 이의 논증을 위해 1960년대 플럭서스에서 시작하여 2000년대에도 전 세계적으로 펼쳐지고 있는 주요한 넷아트 작품과 전시 프로젝트의 핵심적 사례들을 살펴볼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넷아트 큐레이팅의 실천적 의미
1. 넷아트의 개념적 배경
2. 넷아트 큐레토리얼의 글로벌리즘과 정치성
3. 테크놀로지와 담론의 콘텍스트 창조
Ⅲ.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임산 Shan Lim. 정회원, 동덕여자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