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학교 체육과 성취기준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Bloom’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이옥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achievement criteria of the 2015 special curriculum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Bloom's new education goal taxonomy. To this end, 184 sentences based on the common curriculum and basic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relevant curriculum were analyzed into a total of 24 combinations of 4 dimensions of Bloom's new education goal taxonomy and 6 dimensions of cognitive cour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special curriculum physical education and middle school achievement standards, unlike the analysis of the basic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shown in previous studies, the 'procedural knowledge-applying' combination was the most comm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hierarchy by school level. In addition, the dimension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were relatively diverse, confirming the key points of physical education and middle school classes for disabled students. Second, in the case of the common curriculum among the lower curriculum,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s were relatively diverse except for cognitive process dimensions such as 'remember', and higher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s such as 'metacognitive knowledge' and 'creative'. Third, in the case of the basic curriculum among the lower curriculum, the 'procedural knowledge-applying' combination was excessively concentrated at 60.7%, which was analyzed to require improvementsary.

한국어

본 연구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2015 특수교육교육과정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교육과정 체육과 중학교 공통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 성취기준 문장수 184개를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 지식 4개차원과 인지과정 6개차원 총 24개 조합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특수교육교육과정 체육과 중학교 성취기준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초등학교 기본교육과정 분석과 달 리 ‘절차적 지식-적용하다’ 조합이 가장 많았으며 학교급별 위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이 비교적 다양하게 나타나 장애학생을 위한 체육과 중학교 수업의 중점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하위 교육과정 중 공통교육과정의 경우 ‘기억하다’와 같은 인지과정 차원을 제외하고 비교적 다양하게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이 나타 났으며, ‘메타인지 지식’과 ‘창안하다’와 같은 고등 지식 및 인지과정 차원도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하위 교 육과정 중 기본교육과정의 경우 ‘절차적 지식-적용하다’ 조합이 60.7%로 과도하게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나 개선이 필 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분석대상
2. 분석기준 및 방법
3. 분석자 간 일치도
Ⅲ. 연구결과
1. 전체 분석
2. 교육과정별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옥인 Okin, Lee. 정회원, 전주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