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사임당 초충도팔곡병 민화를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 메타버스 플랫폼의 ‘제페토’ 아이템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extile Design Development Based on Chochungdo Palgokpyeong by Shin Saimdang - For the Metaverse Platform 'Zepeto' -

남가람, 성옥진, 김숙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advent of the pandemic around the world, people's untact lives have come as the New-normal. This phenomenon has led young people in the MZ generation to consider Zepeto, a metaverse platform, as a new communication place, and to express their individuality and needs in their avatar-like alter ego. Along with this situation, people around the world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Korea, and posts on Hanbok are being actively uploaded on SNS among young Koreans, starting with famous K-pop stars wearing Hanbok. However, compared to the popularity of K-pop culture, Zepeto, a metaverse platform, lacks the diversity, originality, and number of Hanbok designs compared to other fashion items, so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new design. Therefore, through the review on previous studies on the Zepeto, one of the metaverse platforms, and on the folk painting of Shin saimdang, the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and the concept of Shin saimdang's folk painting of Chochungdo were considered. In addition, a new textile design was developed by reinterpreting three works, ‘Watermelon and wild mouse’, ‘Eggplant and long-headed grasshopper’, and ‘Poppy and lizard’, among the folk paintings of Shin saimdang, representing Korea. A new Zepeto 3D avatar Hanbok fashion item was produced by applying the textile design of folk paintings developed using template patterns in Zepeto. As a result, compared to the existing Hanbok products in Zepeto, the 3D avatar Hanbok design produced in this study was created by reinterpreting different folk paintings, so it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products. In addition, the use of traditional folk paintings for Hanbok items in the metaverse is a new attempt and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producing the product, there were differences in final color, technical limitations of avatars and clothe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ore than 90% of foreign users in Zepeto will be able to promote the beauty of traditional Hanbok, and that various and new 3D avatar traditional Hanbok fashion items will be as active and compelling as other fashion items within the Zepeto platform. As there is still a lack of prior research on the creation of 3D avatar virtual clothing on the Meta-verse platform,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be helpful for follow-up studies on the creation of folk painting and 3D virtual clothing on the metaverse platform in the future.

한국어

전 세계적으로 팬데믹 시대가 도래하며 비대면 생활이 새로운 뉴 노멀로 다가왔다. 이런 현상은 MZ 세대 의 젊은이들이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를 새로운 소통 장소로 여기며 그 안에서 자신의 분신과 같은 아바 타에 본인의 개성과 니즈를 표현하여 활동하게 했다. 이런 상황과 맞물려 전 세계 사람들이 한국에 대한 관심 이 높아지는 동시에 한류 스타들이 한복을 착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국내 젊은이들 사이에서도 한복을 착용 한 게시물이 활발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업로드되고 있다. 하지만 K-Pop 문화의 인기에 비해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 내 한복 디자인의 다양성과 독창성, 가짓수가 다른 패션 아이템들에 비해 현저히 부족하여 새로운 디자인 제시가 필요하다. 이에 메타버스 플랫폼 중 하나인 제페토와 신사임당의 민화에 대한 선행연 구를 통해 메타버스의 특징과 신사임당의 초충도 민화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였다. 또한 한국을 대표하는 신 사임당의 초충도팔곡병의 민화 중 󰡔수박과 들쥐󰡕, 󰡔가지와 방아깨비󰡕, 󰡔양귀비와 도마뱀󰡕 세 작품을 재해석 하여 새로운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였고, 제페토 내 템플릿 패턴을 활용하여 재해석되어 개발된 민화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적용해 새로운 제페토 3D 아바타 한복 패션 아이템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기존에 출시되 어 있는 제페토 내 한복 상품들에 비해 본 연구에서 제작한 3D 아바타 한복 디자인은 각기 다른 민화를 재해 석하여 제작되었으므로 기존의 상품들과 차별화 된다. 또한 메타버스 안에서 한복 아이템에 전통 민화를 활 용하였다는 점이 새로운 시도이며 유의미한 차이점이다. 상품을 제작하며 최종 컬러의 차이와 아바타와 옷의 기술적인 한계점과 입체감의 부족함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페토 내 90% 이상의 외국인 유저들에게 전통 한복의 아름다움을 알리는 계기가 되며, 제페토 플랫폼 내에서도 다양하고 새로운 디자인의 3D 아바타 전통 한복 패션 아이템이 다른 패션 아이템들만큼 활성화되고 주목받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아직 메타버스 플랫폼 내 3D 아바타 가상 의류 제작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만큼 이 연구가 앞으로 민화와 메타버스 플랫폼 3D 가상 의류 제작 관련 후속 연구에도 도움이 되고자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신사임당 초충도팔곡병의 일반적 고찰
2. 메타버스 플랫폼의 일반적 고찰
Ⅲ. 제페토에 대한 고찰
1. 제페토의 개요
2. 제페토의 마켓 현황
3. 제페토 아이템 제작 프로세스
Ⅳ. 신사임당 초충도팔곡병 민화를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및 제페토 아바타 디자인 적용
1. 제페토 마켓 내 한복 디자인 분석
2.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및 적용
Ⅴ. 민화 텍스타일 디자인을 적용한 제페토의 한복 아이템 디자인 분석
Ⅵ.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남가람 Nam Ga Ram.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석사
  • 성옥진 Ok Jin Seong.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강사
  • 김숙진 Kim sookjin.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