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Differently from other state predicative sentences, it is difficult for ‘discovery タ(ta)’ to appear in adjective sentences. In this paper, the reason for the difficulty was investigated from the viewpoint of assessment property of adjective. The meaning presented by an adjective sentence includes not only the objective meaning of the adjective itself but also the subjective aspect (assessment property) that judges or assesses according to the certain standard of the speaker. The expression ‘美味しかた‘, for example, includes the objective aspect of ‘being delicious' and the assessment of the speaker at that time (past). The fact that the speaker had already assessed as delicious before speaking means that the speaker had already known that it was delicious before speaking. Thus, the speaker cannot show the meaning (discovery タ) that the speaker found out for the first time at the time of speaking. Consequently, discovery タ appears when タ does not show the past assessment of the speaker as 13 below show: 1. when the completion of an action outside the sentence is reflected inside the sentence 2. when the result of the speaker's first prediction is shown 3. when the meaning of the adjective contains only the objective aspect Besides, the discovery タsometimes appears when ノダ(noda) cooccurs with adjective タ(ta). The reason is because ノダ(noda) has a function that shows the meaning that the speaker has come to know what the speaker did not know before speaking. When cooccurring with ノダ(noda) with such a function, awareness タ(ta) becomes possible among discovery タ(ta), because adjectives of タ(ta) type do not show the past assessment although they show the association with the past. In addition, due to such a function of ノダ(noda), actualization タ(ta) among discovery タ(ta) cooccurs awkwardly with ノ ダ(noda). But cooccurrence with ノダ(noda) becomes possible in the case to notify that the situation has been actualized according to the external information beside the speaker.
한국어
본 논문은 형용사문이 다른 상태성술어문과는 달리 ‘발견의 タ(ta)’가 나타나기 어 려운 원인을 형용사의 평가성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형용사문이 나타내는 의미에는 형용사 자체의 객관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화자의 일정한 기준에 맞추어 판단 또는 평가하는 주관적인 측면(평가성)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美味しかった」에는 맛있다는 객관적인 측면과 그 때(과거)의 화자의 평 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발화 이전에 이미 맛있다고 평가했다는 것은 발화 이전 에 맛있다고 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함으로, 발화시에 처음 알았다는 의미(발견의タ (ta))를 나타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①~③과 같이 タ(ta)형이 화자의 과거의 평가 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에는 「발견의 タ(ta)」가 나타난다. ①문장 밖의 동작 완료를 문장 안에 반영하는 경우 ②화자의 최초 예측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 ③형용사의 의미가 객관적인 측면만 있는 경우 또한, 형용사의 タ(ta)에 ノダ(noda)가 접속되는 경우 「발견의 タ(ta)」가 나타나기 도 하는데, 그 이유는 ノダ(noda)에는 발화 이전에 알지 못한 것을 지금 알았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능을 가진 ノダ(noda)와 共起함으 로써 형용사의 タ(ta)형은 과거와의 관련을 나타내기는 하나 과거의 평가를 나타내 지는 않아 「발견의 タ(ta)」중에 「인식 변화의 タ(ta)」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ノダ(noda)의 기능 때문에 「발견의 タ(ta)」중에 「실현의 タ(ta)」는 ノダ(noda)와의 共 起가 어색해지지만, 화자 이외의 외부의 정보대로 사태가 실현되었음을 나타내는 경 우에는 ノダ(noda)와의 공기가 가능했다.
목차
1. はじめに
2. 「発見のタ」と形容詞の評価性との関わり
3.形容詞文の「発見のタ」
3.1. 文外の動作完了を文中に反映する場合
3.2. 最初の予測の結果を表す場合
3.3. 客観的な意味を表す場合
4. 形容詞文のタ形とノダの共起による「発見のタ」
4.1. 形容詞文における「認識変化のタ」とノダ
4.2. 形容詞文における「実現のタ」とノダ
5. 終わりに
参考文献(Reference)
参考資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