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선교적 공공교회 모델을 통한 교회와 세상의 재연결(Reconnection) : 질적 사례연구 중심으로

원문정보

Reconnec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ld by Practicing Missional Public Church : Q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주상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is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ssinoal Public Church Type’ among four types of Missional Church in South Korea that I found in my former study. A study of the missional church movement in South Korea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early 2000s. However, I am able to recognize a lack of qualitative study of the missional church movement. For this reason, I had visited twenty five models of missional church in 2018-2021, analyzed the models, and found four types of missional church(the Missional Village Communiy Type, The Missional Public Church Tpye, The Missional Discipleship-Culture Type, and The Missional Alternative Community Type) by employing on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attempts to focus on ‘The Missional Public Church Type’ for carrying out reconnec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ld. In this study, I try to accept triangulation for increasing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research findings such as interviews, participant-observation, and library research. I select three models of ‘The Missional Public Church Type’ to follow up John W. Creswell’s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Especially, a qualitative study in which within-case and across-case analytic methodologies are integrated. I fin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Missional Public Church Type’ through within-case analysis. I am also able to get ten key words through across-case analysis: 1) common good, 2) the Kingdom of God, 3) the missional grassroot movement, 4) Considering locality(incarnational mission), 5) publicness, 6) social entrepreneurship, 7) village ministry, 8) lifestyle, 9) storytelling, and 10) Relationships with municipality. In order to reconnect with unchurched and dechurched people who live in their communities, ‘The Missional Public Church model’ is practicing communication, listening, publicness, and missional life by overcoming the attractional church mindset.

한국어

이 연구는 ‘한국형 선교적 교회 연구’의 후속 연구이다. 2000년대 초 한국교회에 ‘선교적 교회’라는 개념이 소개된 후 선교적 교회 담론은 최근까지 계속 발전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 연구를 통한 ‘한국형 선교적 교회 연구’가 부족한게 사실이 다. 필자는 한국형 선교적 교회모델 특징들을 발견하기 위해 2018-2021년 (3년간) 25 개의 모델들을 직접 방문하고 분석했고, 한국형 선교적 교회의 네 가지 유형으로 ‘선 교적 마을공동체 유형’, ‘선교적 제자도-문화 유형’, ‘선교적 공공교회 유형’, 그리고 ‘선교적 대안공동체 유형’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이 선행 연구 중에서 ‘선교적 공공교 회 유형 모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에 집중하였고, 교회와 세상의 재연결을 위해 노 력하는 모델들을 발견했다. 사례연구를 하면서 주관적 편견이 들어가지 않도록 인터 뷰, 참여관찰, 그리고 문헌 검토와 같은 삼각측정법으로 질적 연구의 신뢰도를 높였다. 선행 연구에서 총 6개 교회(부천 새롬교회, 군산 행복한교회, 군포 갈릴리교회, 안 산 밀알침례교회, 더불어숲동산교회, 보령밀알교회)의 선교적 공공교회 모델들을 발견 했으나, 존 크레스웰(John W. Creswell)의 제안을 수용하여 부천 새롬교회, 안산 밀알 침례교회, 더불어숲동산교회 (총 3개)의 모델 연구에 집중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서는 사례의 맥락을 보여주는 사례 내 분석(within- case analysis)과 사례들이 비슷 하게 다루는 주제들을 분석하여 선교적 공공교회의 특징들을 발견하는 사례 간 분석 (across-case analysis)을 동시에 수행했다. 필자는 세 가지 모델들의 ‘사례 내 분석’을 통해 ‘선교적 공공교회 모델’의 특징을 발견했고 크레스웰이 제안한 사례연구 방법 중 ‘사례 간 분석’을 적용해 분석하여 다 음과 같은 총 10개의 사례 간 통합주제들을 추출했다: 1) 공동선, 2) 하나님의 나라의 현재성, 3) 선교적 풀뿌리 운동, 4) 지역을 고려(성육신 선교), 5) 공공성, 6) 사회적 기업가 정신. 7) 마을 중심(목회), 8) 라이프 스타일, 9) 스토리 텔링, 그리고 10) 지자 체와의 관계. 이 통합 주제들을 발견했고 질적 연구, 분석을 통해 선교적 공공교회 모 델이 세상과 소통, 경청, 그리고 재연결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연구방법론: 사례 연구
1. 연구설계와 자료수집. 분석 방법
2. 선교적 교회운동 출현과 선교적 공공교회 선행연구
III. 사례 내 분석
IV. 사례 간 분석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주상락 Joo, Sang-Rak. 명지대학교 외래교수 / 실천신학 / 선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