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both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Family members live with anxiety due to violence, which faces various difficulties in continuing their lives. This researcher examined Bowen's pastoral counseling approach through self-differentiation from a systematic perspective on domestic violence perpetrators. Since humans live in an organic relationship,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parts, family systems, and perpetrator psychology that are intertwined between families. Since the feelings of suppressed anger caused by anxiety are feelings of uncontrolled wounds in the situation we face, an approach and a solution to how to deal with the feelings of the perpetrators of violence are needed.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perpetrators of violence in terms of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aspects. In terms of psychosocial aspects, this researcher has unfairness, shame, self-deprecating mind, and low self-esteem i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of domestic violence. The perpetrator of violence always regrets and promises not to do it after the violence, but is dominated by emotions and repeatedly uses violence.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perpetrator of domestic violence becomes a slave of emotion and uses violence, and to look at the vicious circle of violence. Bowen's self-differentiation refers to the ability to separate emotions and thoughts, and it is to think reasonably by maximizing the function of reason without being biased toward emotions. By structuring a family system that can break the vicious cycle of violence in angry or angry situations, it was intended to suggest a recovery plan to achieve a change in the thinking of violent perpetrators and form a healthy family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pproached Bowen's systematic perspective on understanding what the psychology of domestic violence perpetrators is and the problem of violence. Bowen made self-differentiation the biggest goal of treatment, and the core of the theory is deltoid. The family's way of life is passed down as Abitus, influencing the family's cognition, perception, thinking, and behavior. Differentiation in the family occurs due to marital problems, and marital problems are also projected to spouses or children who show symptoms. First,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perspective of violence and dys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violence families, second, a plan to restore conflict in the family system due to a triangular relationship in the family system, and third, the role of counselors through a pastoral counseling approach. To this end, the pastoral care of the pastor counselor will help the client look at the feelings of anxiety and anger in a balanced manner, and it is expected to guide the client to find psychological stability to live a healthy life.
한국어
본 연구는 가정폭력 가해자에 대한 체계론적 관점에서 보웬의 자아 분화를 통한 목회상담적 접근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가정폭력의 경험은 가해자는 물론 피해자 모 두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족 구성원은 폭력으로 인해서 불안을 안고 살아가게 되며, 그 불안은 삶을 지속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 게 된다. 인간은 유기체적인 관계 속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가족간 맞물려 있는 심리 적인 부분과 가족 시스템 그리고 가해자 심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웬의 자 아 분화는 감정과 사고를 분리해내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감정에 치우치지 않고 이성의 기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해서 합리적인 사고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 로 분노의 상황이나 화가 나는 상황에서 폭력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낼 수 있는 가족 시스템을 구조화하는 작업으로 폭력 가해자의 사고 전환을 이루고 건강 한 가족 체계를 형성하도록 회복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폭력 가해자의 심리에 대한 이해와 폭력에 대한 문제를 보 웬의 이론으로 접근하였으며, 보웬은 자아분화를 치료의 가장 큰 목표로 삼았으며 이 론의 핵심은 탈 삼각화이다. 가족의 삶의 방식은 가족의 인지, 지각, 사고 그리고행 동에 영향을 미치며 대물림 된다. 결국 가족에서의 미분화가 부부 문제로 발생하고, 부부 문제가 또 증상을 나타내는 배우자나 자녀에게로 투사되며 가족 구성원 간의 문 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첫째, 폭력에 대한 개인적 특징으로 폭력 가해자의 특성에 대해서 가해자의 유형과 요인별로 살펴보았으며, 둘째, 가정폭력의 가정에 대한 역기능적 특징에 대해서 서술 하였으며, 셋째, 가정폭력 가해자에 대한 보웬의 자아분화로 접근하였으며, 목회 상담적 접근으로 상담가의 역할에 대해서 살 펴보았다. 결국 가정폭력의 역기능 가정의 문제점과 가해자로 인해서 어려움에 직면 한 가해자와 피해자의 고통을 보웬의 자아분화와 목회상담가의 목회적 돌봄이 불안과 분노의 감정을 균형감 있게 바라볼 수 있도록 도울 것이며 건강한 삶을 살아 갈 수 있도록 심리적 안정감을 찾도록 안내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가정폭력에 대한 이해
1. 가정폭력의 정의
2. 가정폭력의 특성
3. 가정폭력 행위자의 가해 요인과 유형
4. 가정폭력의 가해자 특성
III. 가정폭력 가해자에 대한 보웬의 자아분화
1. 가정폭력의 역기능과 삼각관계
2. 가정폭력 가정의 다세대 전수
3. 가정폭력 가해자에 대한 보웬의 자아분화와 상담적 접근
4. 목회상담가의 역할
V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