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Exploring Conflict Resolution of Forest Fire Disaster Recovery - Focusing on the Restoration of Forest Fire-damaged Areas -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conflict issue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forest fire-damaged areas, and searching for possibility of resolving conflicts by way of reviewing the consensus building case in the year of 2000 forest fire disaster. The issue is which approach the government should take in making a forest fire-damaged areas restoration plan between artificial forestation and natural recovery. Forest fire may act as a potential factor which destroys cultural assets, so it is needed to study how the forest fire-damaged areas should be restored.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making a consensus between two different approaches in making a forest fire-damaged area restoration plan. Some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sustaining a consultative organization on a regular basis, making a rational and scientific restoration plan through a close investigation of damaged areas, making a consensus building in making and implementing a restoration plan, and quick release of information on emergency restoration measures, clear clearing, and construction of forest trails.
한국어
본 연구는 산불피해지 복구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쟁점을 진단하고, 복구계획수립에 관한 합의형성 사례분석을 통해 갈 등의 해결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대형 산불재난은 문화재 훼손의 잠재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 요성을 갖는다. 분석 결과, 갈등해결을 위한 협의기구에 이해관계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합의안 도출을 이루어냈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몇 가지 함의를 찾을 수 있었다. 산불피해지 복구를 둘러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먼저, 산불피해 지 복원을 위한 협의기구를 상시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피해지에 대한 정밀조사를 통해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복 원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복구계획안의 수립 및 이행과정에서의 신뢰구축 및 신뢰 유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산불피해지 응급복구, 모두베기, 임도건설 등에 관한 정보는 사전에 산주와 해당 지역주민에게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