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어선 안전관리를 위한 발전적 제언

원문정보

Some Consider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ishing Vessel Safety Management

문상량, 이윤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r the five years from 2017 to 2021, fishing vessel accidents accounted for an average of 66% of marine accidents per year. Although marine accident prevention measures are established every year and joint inspections are carried out by fishing vessel safety-related organizations during the holiday season, the number of marine accidents that occur every year h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Marine accidents can be greatly reduced if only the law regarding maritime accident countermeasures and strengthened fishing vessel safety management are followed. Although marine accidents also occur due to causes caused by unpredictable swell waves or rapidly changing marine weather in the distant sea, it can be said that the human factor is the insensitivity to safety that is pointed out as the cause of most accidents. Therefore, rather than further strengthening the current fishing vessel safety management system, the perception of safety of addressee should be changed and a safety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in society as a whole. In other words, a paradigm shift is required. Recently, in the field of fishing vessel safety management, there have been major changes at domestic and abroad, such as the announcement of the first basic plan for safe fishing for fishing vessels at domestic and abroad and the preparation of the requirements for ratification of the Cape Town Agreement. It is a turning point in fishing vessel safety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Cape Town Agreement is about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entry into force 46 years after the first Torremolinos Convention was proposed. Technologies such as propulsion fishing vessel using eco-friendly new materials and fuels are also being developed in a rush. The three important things we need for the safety of fishing vessel in the future are: First, it is necessary to predict in advance that the focus will be on follow-up measures after a marine accident occurs, and then switch to a prevention-oriented response. Second, rather than indiscriminately adding life-saving and fire-fighting equipment or strengthening standards every time after a marine accident that causes great casualties, the equipment with overlapping functions is reduced, and even if it is rather expensive equipment, essential equipment need to be strengthened through system improvement. Lastly, the culture of reporting semi-marine accidents should be universalized and the safety culture spread, so that fishermen should become rule makers from rule takers.

한국어

해양사고 통계에 따르면 2017년에서 2021년까지 지난 5년간 발생한 해양사고에서 어선사고는 연평균 약 66%의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매년 어선안전 관계 기관들이 해양사고 예방대책을 수립하고 각종 합동점검이 이뤄지고 있지만 해마다 발생하는 어선사고의 발생건수는 크게 감소되지 않고 있다. 해양사고 대책과 강화된 어선안전 관리에 관한 법제만 잘 준수하면 해양사고를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해양사고는 먼바다 해상에서 예측할 수 없는 너울성 파도나 기상악화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지만 사고 대부분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은 인적요소 바로 안전불감증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의 어선안전 관리 법제를 더 강화하기보다는 수범자들의 안전 의식을 바꾸고 안전문화가 사회 전반적으로 정착되어야 한다. 즉,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최근 어선안전 관리 분야는 제1차 어선안전조업기본계획이 발표되고 케이프타운 협정의 비준 요건 충족을 앞두고 있는 등 국내외적으로 큰 변화가 있다. 어선안전 관리의 전환점을 맞이한 것이다. 특히 케이프타운협정은 처음 토레몰리노스협약이 제안된 지 46년만에 발효요건 충족을 눈앞에 두고 있다. 친환경 신소재와 연료를 활 용한 추진 어선 등의 기술도 앞다투어 개발되고 있다. 어선안전을 위해 앞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3가지 중요한 것이 있다. 첫째, 해양사 고 발생 후 사후 조치에 집중하기보다는 해양사고를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 위주의 대응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큰 인명피해가 발생한 해양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무분별하게 구명, 소방설비를 추가하거나 기준을 강화하기보다는 중복 기능이 있는 설비는 줄여나가고 다소 고가의 장비라 하더라도 지원사업 등 제도 개선을 통해 어 선안전을 위한 설비는 더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 전반적으로 준해양사고 보고문화가 보편화되고 안전문화가 확산되어 어민과 어선원들이 법제의 수범자(rule taker)에서 법제 제정자(rule maker)가 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어선안전의 근원적 문제 제기
Ⅲ. 어선 안전관리 국내외 주요 동향
Ⅳ. 어선 안전관리 발전을 위한 제언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상량 Moon, Sang-Ryang.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책임검사원
  • 이윤철 Lee, Yun-Cheol. 한국해양대학교 항해융합학부 교수, 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