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업주 연령과 근로자 신규고용 및 이탈 : 커피전문점업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ge of Establishment Owners, Hiring and Separations : Evidence from Coffee shop Industry

신동한, 조장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nfirms how much hiring and separ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owner age and age of coffee shops. Coffee shop is an industry that has grown rapidly over the past 20 years, and the number of consumers andworkers ismainly in their 20s and 30s, so hiring and separation is active. For each coffee shop, from2015 to 2019, new hires of young workers in their 30s or under is estimated to be 0.63 per year, and separation, 0.05 per year, both of which are higher than those of workers in older age groups. Using poisson regressionmodel, we find the number of new hires is relatively lower for older business owners than for business owners under 30. Similarly, the number of new hires is relatively small for establishments aged more than 4 years than those aged 2-3 yea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eparation, there is no consistent effect depending on the owner' age and the firmage. To summarize, our results showthat employers hiremoreworkers of the same or younger age than themselves, but it is difficult to find consist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ge of employers in separation. This study adds to previous literature in that it analyzes firm-level job flows in accordance with firmcharacteristics using unique data covering the universe of coffee shop industry.

한국어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의 사업주 연령, 사업체 업력 등에 따라 신규고용과 이탈이 얼마나 달라지는지를 확인한다. 커피전문점은 지난 20여 년 간 급격하게 성장한 산업으로 수요자와 종사자 또한 20~30대가 주로 분포하고 있어 근로자의 일자리 이동이 활발하며, 30대 이하의 고용이 주된 산업이다. 각 커피전문점은 2015년부터 2019년 동안 30대 이하의 신규고용은 연 평균 0.63명, 이탈은 연 평균 0.05명으로 나타나며, 신규고용과 이 탈 모두 중장년층에 비하여 높다. 포아송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30대이하 사업주에 비하여 중장년 사업주일수록 신규고용인원이 상대적으로 적다. 마찬가지로 사업체 업력이 2~3년인 경우에 비하여 4년 이상일수록 고용인원이 상대적으로 적다. 반면 이탈 인원수의 경우 사업주 연령과 사업체 업력에 따라 일관적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다. 신규고용과 이탈을 근로자 연령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사업주는 자신보다 같거나 낮은 연령대의 근로자를 더 많이 고용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이탈은 사업주 업력에 대하여 일관적 특징을 찾기 어렵다. 본 연구는 자료 측면에서 전 수 자료를 사용하여 보편적인 신규고용 및 이탈 패턴을 분석한다는 점, 사업체 및 사업주 이질성에 따른 신규고용 및 이탈 패턴을 분석하고 있다 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국내 커피전문점업의 성장
III. 자료 및 분석모형
1. 자료
2. 회귀 분석 모형의 소개
3. 요약 통계
IV. 분석 결과
1. 기본 모형 분석 결과
2. 강건성 검정: 지역간 이질성에 대한 추가 분석
V. 결론
1. 연구의 요약과 시사점
2. 한계 및 후속 연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동한 Shin, Dong han. 서강대학교 지암남덕우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
  • 조장희 Cho, Jang hee. 제주대학교 경제학과, 지속성장데이터사이언스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