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비스 기업 내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동료로부터의 무례경험이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 직무불안정성의 매개효과, 성별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and Coworker Incivility on Work-Family Conflict : The Job Insecurity as a Mediator and Gender as a Moderator

허원무, 강성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and coworker incivility on work-family conflict through job insecurity.We identified gender as a boundary condition that strengthen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coworker incivility and job insecurity. In detail, we investigated the spillover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and coworker incivility from service organizational insiders(supervisors and coworkers) on targets’ work-family conflict and tested themedi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and themoderating effect of gender. To test our hypotheses, we collected online panel survey from 728 South Korean service employees. As predicted,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coworker incivility and work-family conflict was mediated by job insecurity. In addition, gender exert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abusive supervision and job insecurity relationship, such that this relationship was more pronounced when the service employee was female. Finally,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worker incivility and job insecurity was stronger for male service employees than female service employees. It also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avoiding service employees’ work-family conflict.

한국어

서비스 기업 내부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종업원에 대한 부당한 대우는 감정소진과 서비스 성과 하락 등 다양한 형태의 부정적 결과를 야기시 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나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나 동료로부터의 무례와 같은 부당한 대우는 직무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으로 부정적 영향의 결과가 전이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동료로부터의 무례경험이 일-가정 갈등을 초래하는 메커 니즘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동료로부터의 무레경험이 일-가정 갈등을 초래하는 과정에서 직무불안정성의 매 개적 역할을 실증하였다. 이와 더불어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및 동료로부터의 무례경험과 직무불안정성의 관계에 있어 성별의 조절적 역할도 확인하였다. 다양한 서비스 업종에 근무하는 728명의 서비스 종업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M-plus 프로그램 코드 를 사용하여 붓트스트래핑 방법을 통해 제시된 가설들을 실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동료로부터의 무례경험이 일-가정 갈등으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직무불안정성은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직무불안정성 간의 관 계에서는 여성이, 동료로부터의 무례경험과 직무불안정성 간의 관계에서는 남성이 더 강한 관계임이 확인되어 성별에 의해 이들의 관계가 조절 되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기업이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당한 대우를 관리하는 차별적 내부마케팅 활동의 의 미를 확인하고, 직무불안정성과 일-가정 갈등과 같은 부정적 성과를 감소시키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들을 제공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의 설정
1. 비인격적 감독 및 동료로부터의 무례경험과일-가정 갈등
2. 비인격적 감독 및 동료로부터의 무례경험과일-가정 갈등 간의 관계에서 직무불안정성의매개적 역할
3. 비인격적 감독 및 동료로부터의 무례경험과직무불안정성 간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적역할
III. 실증분석
1. 자료의 수집 및 표본의 특성
2. 측정변수
3.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4. 가설검증
5. 추가분석
V. 결론
1.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2.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원무 Hur, Won-Moo. 인하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강성호 Kang, Seongho. 조선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