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남 고성 육영재를 배경으로 한 <뉵영 유샹가라>

원문정보

<YookYoungjae YuSangara> : Hwajeonga with Yuk Youngjae in Goseong, Gyeongsangnam-do

남혜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ntroduces the hwajeonga lyrics (written in 1897) and tries to designate the writer as Choi Han-soon's eldest daughter. The family of Jeonju Choi, who lives in Hakrim-ri, Goseong, founded Yukyeongjae and operated and managed it for generations, contributing greatly to the education of the local community. There are about 20 poetry books of men who studied at YukYoungjae, but no records of women have been found so far. vividly expresses one aspect of women's lives surrounding YukYoungjae, so it will be possible to expand the meaning surrounding Yuk Young-jae to women. The author expressed her affection for her hometown by listing the scenic spots of Goseong. In addition, the author called the procession of women who attended the meeting one by one, citing the names of places in southern Goseong, such as "Majeon Lee" and "Ohbang Je." This makes it possible to know the reality of the network of Goseong women centered on Jeonju Choi Clan. Finally, the author recalled her memories with her family by referring to specific events and years and incorporated personal feelings into the lyrics. Another characteristic of is its expandability. The author connected the playfulness of great men in the mythological and historical periods and the spirit of Korean famous mountains such as Baekdusan Mountain, Han River, and Duryu Mountain to Yukyeongjae. When introducing the location of Yukyeongjae, the author listed Oknyeobong Peak, Mireuksan Mountain, Jaando Island, and Maando Island and placed Yukyeongjae in a wide nature. She expressed her feelings for not only those who attended the meeting, but also those who could not attend, and those who died. For the author, the meeting at Yuk Young-jae was a window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한국어

본고는 순천 뿌리깊은나무박물관 소장 『서씨뉵여명귀졀록』 2권에 다른 여성 제문 3편과 함께 수록되어 있던 화전가류 가사 <뉵영 유샹가라>(1897년 작성, 1925년 필사)를 소개하고 그 작가를 최한순의 장녀로 비정하려고 한다. 고성 학림리에 세거하는 전주최씨는 육영재(育英齋)를 창립하고 대대로 운영 및 관리하여 지역 사회의 교육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육영재에서 수학했던 남성들의 시문집은 20여 편이 남아 있지만 여성들의 기록은 지금까지 발견된 바가 없다. 이번에 소개할 작품은 육영재를 둘러싼 여성들의 삶의 한 단면을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기에 육영재를 둘러싼 의미의 자장을 여성에게까지 확대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뉵영 유샹가라>의 특징은 삶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표현했다는 것이다. 작자는 육영재를 둘러싼 고성의 명승지들을 열거하며 애향심을 나타냈다. 또 작자는 모임 에 참석한 여성들의 행렬을 ‘마전이씨’ ‘오방제씨’ 등 고성 남부 지방의 지명을 들어 하나하나 호명했다. 이는 전주최씨를 중심으로 한 고성 여성들의 네트워크의 실상을 알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작자는 가족들과의 추억을 구체적인 사건과 년도를 언급하며 회상하여 개인적인 감정을 가사에 녹여냈다. <뉵영 유샹가라>의 또 다른 특징은 확장성이다. 작자는 신화 시대와 역사 시대의 위인들의 노닒과 백두산, 한강, 듀류산 등 한국의 명산들의 정기를 육영재와 접속시켰다. 육영재의 위치를 소개할 때는 인근의 향로봉과 좌이산을 넘어서 옥녀 봉, 미륵산, 자안도, 마안도까지 열거하며 육영재를 더 광대한 자연 속에 위치시켰 다. 작자는 모임에 참석한 사람은 물론이거니와 참석하지 못한 사람, 그리고 죽은 사람들을 생각하며 이들에 대한 감정을 풍부하게 표현하였다. 작자에게 육영재에서 의 모임은 평범한 가족모임을 넘어선 세상과 소통하는 창구였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경남 고성 육영재의 전주최씨
3. 작품 해제
4. 작품 원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남혜경 Nam Hyekyoung.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