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논문

학생 주도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 B대학교 또래 튜터제와 만오에듀케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Case Study of Student-centered Exta-curricula Program Operation — Focusing on the peer tutoring and Mano-eduketer of B university

권경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ecessity of student-centered education in education was continuously emphasized. However, the more emphasized the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more the center of education became again the instructor and the school. As a result, learners are called ‘students’ again in the changed school education field. In a previous study of student-centered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 who was supposed to be the subject of education became the batter again. Therefore, this paper newly defined student-centered-education by borrowing Lancier’s concept of “universal education” and Foucault’s concept of “self-discipline.” This paper attempted to view student-centered education as achieving the primary purpose of self-building. To this end, instructors and learners tried to define ‘common things (learning goals, learning activities, etc.)’ as learning activities in which learners become main actors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and in the world through the instructor’s visible educational environment setting and invisible educational support. In addition, in this paper was considered by ‘Peer Tutoring’ and ‘Mano-edukater’ of University B. as the student-centered-program examples. Peer tutors students are recognized for their expertise as correction tutors and have membership other than students at school. Peer tutors have the experience of being an educational subject with the identity of correction work and tutor. Peer tutors students are recognized for their expertise as correction tutors and have membership other than students at school. Peer tutors have the experience of being an educational subject with the identity of correction work and tutor. Mano-eduketer played the role of the leader in the education and extra-curriculum of the liberal arts college as a program planner. Because of this, they had the experience of being the main characters of education. Peer Tutor and Mano-eduketer are programs that allow you to reflect on your inner self, think critically, and meet the world through them.

한국어

학생 중심, 학생 주도 교육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학생 중심, 학생 주도 교육은 교수자가 중심이었던 교육 생태계에서 학습자가 그 중심이 되어야 함을 역설해 왔다. 그런데 교육 현장에서 학생 중심, 학생 주도를 강조하면 강조할수록 그 변화가 다시금 교수자, 학교라는 점은 지속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을 교수자와 학교가 수용함으로써 결국 변화한 학교 교육 현장에 학습자, 학생은 다시금 ‘학생’으로 호명되고 마는 것을, 교육 주체가 되어야 할 학생이 다시 타자가 되는 것을 학생 중심의 선행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생 중심, 학생 주도 교육을 랑시에르의 ‘보편적 교육’ 개념과 푸코의 ‘자기 수양’ 개념을 빌려 새롭게 정의 내렸다. 본고에서는 학생 중심, 학생 주도를 학습자의 내적 성장, 자아 구축이라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두고, 이를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에 놓인 ‘공통의 것(학습 목표, 학습 활동 등)’을 교수자의 가시적 교육 환경 설정과 비가시적 교육 지원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세계에서 주동자, 주 행위자가 되는 학습 활동으로 규정하고자 했다. 그리고 B대학에서 운영한 ‘또래 튜터제’와 ‘만오에듀케터’를 그 사례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래 튜터제는 학부 7학기 이상 이수자가 글쓰기 튜터 양성과정을 이수한 후 교내 글쓰기센터 전문 튜터로 학부 재학생의 첨삭을 담당하는 제도이다. 또래 튜터 학생은 첨삭 튜터로서 전문성을 인정받고 학교에서 학생 이외의 구성원 정체성을 갖는다. 또래 튜터로서의 첨삭 업무와 튜터라는 정체성은 학생이 비교과 교육에 주체임을 실감케 한다. 또래 첨삭 튜터는 첨삭 전문가라는 정체성을 획득함으로써 존재론적 전환을 이룸으로써 전문성을 통한 지적 성장과 또래 첨삭을 통한 사회적 관계 성장을 함께 이룬다. 만오에듀케터는 교양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 기획-제안자로서 교양대의 교육과 비교과에서 주동자의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교육의 주인공이 되는 경험을 가졌다. 또래 튜터와 만오에듀케터는 학습자가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서 자신의 유용성을 증명하는 것에 몰두하지 않고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비판적으로 사유하며, 자신의 내면을 단단히 구축할 수 있도록 계기를 만들고 이를 통해 세상과 만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목차

국문 요약
1. 교육 주체로서의 학생, 학생 중심 교육
2. 학생 중심형 교육 및 비교과 연구 경향과 학생 중심 교육 개념
3. 학생 중심 비교과 운영 사례—글쓰기 또래 튜터제
4. 교과 및 비교과 학생 기획단 운영 사례—만오에듀케터
5. 학생 주도형 교육 프로그램의 한계와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경미 Kwon Kyongmi. 부산외국어대학교 만오교양대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