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1 _ 문예창작학(과)의 전망과 재구성 3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는 문예창작과의 몇 가지 자구책에 관하여 — 광주대학교 문예창작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Implement Measures of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to Respond the Decrease in School-age Population — Based on the case of Gwangju University’s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조형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has already been a long time since various pressures have been applied by government policies and markets over the creative writing. As a result, there was a crisis of contraction or extinction of the general humanities and arts, including the creative writing. The current reality is that the problem of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is adding to this crisis This paper introduced the case of Gwangju University’s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to present a method for sharing and responding to this situation. The core is to apply the methodology of the creative writing to web novels, genre literature,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This is a way to expand to liberal arts education while seeking a new path in the department itself.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esent specific cases and measures that literature and creative science can actively monopolize the institutional and social pressure continuously given through the government and the market. In addition, we discussed what educational effects can be brought to students. I would like to name this as the appropriation of creative writing. There are still many prospects and possibilities that creative writing can present to students through the appropriation of creative writing. There is a need to inform all walks of life and constantly persuade them.

한국어

정부 정책과 시장 간 제휴에 의해 가해지는 다양한 압력으로 말미암아 문예창작학을 포함한 인문예술 일반의 위축 내지는 소멸의 위기가 초래되고 있다. 여기에 학령인구 감소라는 문제가 더해지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본 논문은 광주대학교 문예창작과의 사례를 소개하여 이러한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 핵심은 문예창작학의 방법론을 웹소설과 장르문학,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는 학과 자체에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 한편으로 교양교육으로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는 방편이 된다. 이를 통해 정부와 시장을 통해 지속적으로 주어지고 있는 제도적·사회적 압력을 문예창작학이 적극적으로 전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 및 방안을 제시하고 학생들에게 어떤 교육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에 대해 논의했다. 이를 전유의 문예창작학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전유의 문예창작학을 통해 문예창작학이 학생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전망과 가능성은 여전히 많다. 이 사실을 각계각층에 알리고 부단히 설득해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목차

국문 요약
1. 들어가며
2. 웹소설 특성화의 현황과 사례
3. 문예창작 교육의 숙제와 전망
4.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으로의 확장 : <스마트미디어콘텐츠의 이해>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5. 나가며 : 전유의 문예창작(학)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형래 Cho Hyungrae. 광주대학교 문예창작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