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1 _ 문예창작학(과)의 전망과 재구성 3

문학장의 변동과 문예창작 교육의 확장성 —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Changes in the Literary Field and Expansion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 Focused on department creative writing in Myongji University

양근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amine the extensibility of literature education and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focusing on the case of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at Myongji University. The wind of change that has recently blown into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s in the universities in Korea is shifting literature-centered creative education to cultural content and storytelling creati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have led to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ulture which is horizontal and fluid based on networks. Literature is expanding by exchanging influences with new digital languages without being bound by print media and textual language.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in Myongji University maintains the original identity of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with a focus on literature, while improving the curriculum to access and actively utilize various media environments. The case of curriculum management covered in this research shows the possibility of learner-centered creative education reflecting the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gital literacy and media utilization ability. The learners majoring in creative writing, rather than accepting the generic category of cultural contents, critically reflect on it and experience the process of broadening the interface between literature and various media contents. The extensibility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will be achiev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competency so that humanistic imagination and creativity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without being swayed by the economic value of the cultural industry.

한국어

최근 대학 문예창작학과에 불어온 변화의 바람은 문학 중심 창작 교육을 문화콘텐츠 및 스토리텔링 창작 중심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매체 환경의 변화는 네트워크에 기반한 수평적이고 유동적인 문화의 생산과 소비를 이끌어냈다. 문학은 인쇄 매체와 문자 언어에 속박되지 않고 새로운 디지털 언어와 교호하면서 확장되는 중이다. 명지대 문예창작학과는 문학을 중심으로 한 문예창작학과 본래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미디어 환경에 접근하고 이를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목을 개선하고 있다. 이 글에서 다루어진 교과목 운용 사례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매체 활용력을 갖춘 대학생들의 수요를 반영한 학습자 중심 창작 교육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문예창작학 전공 학습자들은 문화콘텐츠라는 포괄적인 범주를 수용하기보다 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문학과 다양한 미디어콘텐츠의 접점을 넓혀가는 과정을 함께 경험하고 있다. 문예창작 교육의 확장성은 문화산업이라는 경제적 가치에 경도되지 않고 인문학적 상상력과 창의성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개발시키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목차

국문 요약
1. 문예창작학과의 위상과 문화콘텐츠
2. 문학의 효용과 문학장의 변동
3. 학습자 중심 창작 교육의 가능성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근애 Yang Geunae.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