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8-9세기 신라와 발해, 일본의 자아와 타자 인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illa and Balhae, Japan’s ego and perception of others in the 8th and 9th centuries

전덕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self-awareness of Silla, Balhae and Japan in the 8th and 9th centuries and the perception of others among them. Japan’s Ritsuryo state recognized Silla and Balhae as tributary countries, and treated Ezo, Hayato, and Namdo people as barbarians. In the 8th century, with the Emperor at the top, Japan established its own country-centered independent view of the world covered all one’s own and tributary countries, barbarians, namely, a small imperialist international order. Silla, which claims to be a tributary country of the Tang Dynasty, once established its own country-centered independent worldview that made Bodeok-country and Tamra or Balhae and Tamra a tributary country. At that time, the Silla people recognized their country as a state with the status of a royal castle and proudly regarded it as a Noble-man country(君子國) that developed Confucian culture comparable to that of China, on the other hand, despised Japan as an uncivilized barbarians country(夷狄國) that fell behind culturally. Since Silla invaded Balhae in 733, the two countries have maintained hostile relations for a while, and since the mid-8th century, Silla has treated Balhae as a country of good-neighbor diplomacy. The people of Silla, like Japan, considered Balhae a culturally backward country, showing their pride. Although Balhae claimed to be a tributary country of the Tang Dynasty, it aimed to establish the emperor’s state system internally. In addition, Balhae established its own country-centered independent worldview that made the neighboring Mamma tribes a tributary political group. Since the mid-8th century, Balhae has treated Silla as a country of good-neighbor diplomacy, and competed or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on the international stage. Balhae, like Silla, treated Japan as a country of good-neighbor diplomacy, either by claiming that Balhae and Japan were father-in-law and son-in-law relations or by referring to the national letter sent by Balhae King to the Japanese emperor as “Ki(啓).” Japan recognized Silla and Balhae as tributary countries, but Silla and Balhae treated Japan as a country of good-neighbor diplomacy, and Silla and Japan’s or Japan and Balhae’s dream of the same bed was caused by diplomatic friction and conflict. It can be summarized that Silla’s ego and perception of other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became the source of Korea’s perception of China and Japan in the pre-modern era.

한국어

본 논고는 8-9세기 신라와 발해, 일본의 자아 인식과 이들 사이의 타자 인식에 대하여 살핀 것이다. 일본 율령국가는 신라와 발해를 蕃國으로 인식하고, 蝦夷와 隼人, 南島人을 夷狄으로 대우하였다. 8세기에 일본은 天皇을 정점으로 自國과 蕃夷를 모두 아우르는自國 중심의 독자적인 천하관(세계관), 즉 小帝國主義的인 국제질서를 구축하였다. 신라는 당나라의 蕃國으로 자처하면서도 한때 報德國과 耽羅 또는 渤海와 耽羅를 屬國으로 거느리는 자국 중심의 천하관을 구축하였다. 8세기에 신라는 일본을 隣國으로 대우하였는데, 이때 신라인은 自國을 王城의 위상을 지닌 국가로 인식하며 중국과 거의 대등한 유교문화를 발전시킨 문화선진국, 즉 君子國이라 자부하고, 일본은 문화적으로 낙후된 夷狄國家로 폄하하였다. 733년에 신라가 발해를 침략한 이후 두 나라는 한동안 적대관계를 유지하였고, 8세기 중반부터 신라는 발해를 抗禮의 隣國으로 대우하였다. 신라인들은일본과 마찬가지로 발해도 문화적으로 낙후된 夷狄國家로 폄하하며 자존감을 드러냈다. 발해는 대외적으로 당나라의 蕃國으로 자처하면서도 대내적으로 皇帝國體制를 지향하였다. 또한 주변의 靺鞨 部族을 蕃國으로 거느리는 자국 중심의 독자적인 세계관을 정립하였다. 발해는 8세기 중반 이후부터 신라를 抗禮의 隣國으로 대우하면서도 국제무대에서 서로 경쟁하면서 교류하였다. 발해는 신라와 마찬가지로 일본을 대등한 관계의 隣國으로 대우하였는데, 이것은 발해와 일본 사이를 舅甥關係라 주장하거나 발해왕이 일본 천황에게 보낸 國書를 啓라 불렀던 사실을 통해 입증할 수 있다. 일본은 신라와 발해를蕃國으로 인식한 반면에, 신라와 발해는 일본을 抗禮의 隣國으로 대우하는 일본과 신라, 일본과 발해의 同床異夢은 현실에서 외교적 마찰과 충돌로 비화되었다. 통일신라기신라의 자아와 타자 인식은 전근대 우리나라의 대중국・일본 인식의 淵源이 되었다고 정리할 수 있다.

일본어

本論考は、8-9世紀の新羅・渤海・日本の自我認識とこれらの間の他者認識について 考察したものである。日本の律令国家は、新羅と渤海を蕃国と認識し、蝦夷と隼人南島人を夷狄として待遇した。8世紀に日本は天皇を頂点に自國と夷狄を全て包括する 自国中心の独自的天下観、つまり小帝国主義的な国際秩序を構築した。新羅は唐の蕃 国と自任しながらも一時報德国と耽羅または渤海と耽羅を引き連れる自国中心の天下 観を構築した。8世紀に新羅は日本を隣国として待遇したが、この時新羅人は自国を 王城の位相を持つ国家と認識し、中国と同等の儒教文化を発展させた文化先進国、すなわち君子国と自負し、日本は文化的に立ち後れた夷狄国家と卑下した。733年に新羅が渤海を侵略してから両国はしばらく敵対関係を維持し、8世紀半ばからは新羅は 渤海を抗礼の隣国として待遇した。新羅の人々は、日本と同じく渤海も文化的に立ち後れていた夷狄国家とみなし、自尊感を露わにした。渤海は対外的に唐の蕃国と名乗 りながらも、対内的には皇帝国体制を目指した。また周辺の靺鞨部族を蕃国に引き連 れる自国中心の独自の世界観を確立した。渤海は8世紀半ば以降、新羅を抗礼の隣国として待遇しながらも、国際舞台で互いに競争しながら交流した。渤海は新羅と同 様、日本を対等な関係の隣国として待偶したが、これは渤海と日本の間を舅甥關係と主張するか、渤海王が日本の天皇に送った国書を啓と呼んだことによって立証でき る。日本は新羅と渤海を蕃国と認識したが、新羅と渤海は日本を抗礼の隣国として待 遇する日本と新羅、日本と渤海の同床異夢は現実の中で外交摩擦と衝突に飛火した。 統一新羅期の新羅の自我と他者の認識は、前近代の韓国の対中国・日本の認識の淵源 になったと整理できる。

목차

<要旨>
Ⅰ. 머리말
Ⅱ. 일본의 자아와 신라・발해 인식
Ⅲ. 신라의 자아와 일본・발해 인식
Ⅳ. 발해의 자아와 신라・일본 인식
Ⅴ. 맺음말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전덕재 Jeon Deogjae .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 한국고대사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