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럽연합의 미등록 부분디자인 보호와 우리 디자인 보호체계에의 시사점

원문정보

Unregistered design protection for parts of products in Europe and its implications for design protection system in Korea

최기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recently published its preliminary ruling in case Ferrari v. Mansory Design. In essence, CJEU confirmed protection of unregistered design for parts of products and its requirements. Firstly, unregistered design right arises from the time that makes available to the public. When the design of entire product is disclosed, that of part can also be protected if it is clearly identifiable. Secondly, where the making available consists in the publication of images of a product, the features of the part or component of that product for which protection is sought must be clearly visible when assessing the requirement of indivisual character. This paper analyzed the implications from the CJEU case for design protection system in Korea. In Korea, prevention of imitation of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rules unregistered design protection.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rotection of unregistered design for parts of products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because of similarity with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partial design system under the Design Protection Act. This paper proposes that it is necessary to satisfy the requirement of clearly identifiable and visible when seeking protection of unregistered design for parts of products as the CJEU case. Then it leads to unregistered design for parts be possible to compare with and exclude the protection when identical to earlier design.

한국어

유럽연합 사법재판소 Ferrari v. Mansory Design 사건(이하 ‘대상 판결’이라고 한다)에서 공동체 미등록디자인 일부의 보호 가능성 및 보호의 요건에 대해 다음과 같이 판단하였다. 첫째, 전체 제품의 공개 때 분명하게 식별가능하면 미등록디자인의 부분도 보호받을 수 있다. 둘째, 미등록디자인의 부분이 보호받기 위해서는 그 부분이 가시적 부분을 구성하여야 디자인 보호의 일반요건인 독특성을 충족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미등록디자인을 보호하는 상품형태 모방행위에 있어 상품형태의 일부 보호도 디자인보호법상 부분디자인 제도를 도입한 취지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필요성이 인정된다. 다만, 상품형태 모방행위는 완전모방을 규제하고자 하는 취지이므로 상품형태의 일부는 대상 판결과 같이 보호를 구하는 부분이 식별가능하고 가시적이어야 한다는 요건을 충족할 필요가 있다. 상품 형태의 일부가 위 요건을 충족하여야 선행디자인과 비교를 통해 제외되는 동종 상품의 통상적 형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유럽연합의 미등록 부분디자인 보호
1. 의의
2. 미등록디자인 보호의 요건
3. 미등록디자인 권리의 내용
4. 부분디자인 보호
III. 대상 판결에 대한 검토
1. 사안의 개요
2. 독일 법원의 판단
3. 유럽연합 사법재판소의 판단
IV. 우리나라의 미등록디자인 보호와 부분디자인 보호
1. 개관
2. 디자인보호법상 부분디자인 제도
3. 부정경쟁방지법상 미등록디자인 보호
V. 대상 판결의 시사점
1. 부품디자인과 부분디자인
2. 미등록 부분디자인 보호의 필요성
3. 미등록 부분디자인 보호의 요건
VI.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최기성 CHOI, Gi-sung. 법무법인 KHL 변호사, 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