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학생의 CU특질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가족 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CU Traits on Problem Behavior : Through stress in the family

정문경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problem behavior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in the family. This was intend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counseling teachers in schools to provide useful data for counseling by reducing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s and stress that may occur at hom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preliminary survey of 60 cop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related to this researcher showed high reliability with Cronbach's α value of .88. From June 3 to June 20, 2020, 481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by visiting and commissioning middle schools in person. In this study,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l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U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problem behavior.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U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amily relationship str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family relationship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oblem behavior. Fourth, the CU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ship stress and problem behavior.

한국어

본 연구는 중학생의 CU특질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으로 가족 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청소년들의 문제행동 과 가정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스트레스를 줄여 학교 내 상담 선생님들이 상담 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자와 관련이 있는 서울시 소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4월15일부터 4월30일까지 60부를 예비로 설문 조사한 결과 Cronbach‘s α 값이 .88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2020년 6월 3일부터 6월 20일까 지 중학교 직접방문 및 의뢰하여 설문지 481부를 배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 고 성별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를 검증하기위해 독립표본t-test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CU특질은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중학생의 CU특질은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중학생의 가족관계 스트레스는 문제행동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CU특질은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문경 Jeong, Mun-Gyung. 칼빈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김수주(2002). 중,고등학생의 학교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김오남·김경신(1994).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의사소통유형 지각과 가족스트레스,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2, 105-119.
  • 3김유숙(2007). 노인성별에 따른 죽음준비교육요구 차이에 관한 연구: 노인성별에 따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4김현실(2002). 한국 청소년 비행의 성차 분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492-505.
  • 5김혜숙·서명교(2008).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보건협회, 34, 40-53.
  • 6남현미(1999).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7박나연(2014). 가출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적응유연성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8박지현(2009). 장애아동가족의 사회적 지지와 가족적응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진주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9배종열(1985). 가족의 일상사건과 스트레스 및 극복방안,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0서신자(2014). 청소년의 가족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간의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남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