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비행경험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Self-Esteem on Aggression in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Delinquency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박영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case of early adolescents, it has been reported that if they do not adequately radiate aggression, they are more likely to cause delinquency in the future. In addition, aggression in adolescence can predict not only current maladaptation but also future maladaptation, and is highly likely to continue as adult aggression. In addition to this, many studies claim that aggression is a major factor in adolescent delinquency. Regarding aggression, many scholars argue that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are related to aggression. In other words, when self-esteem is high, aggression is low, and when the degree of social withdrawal is high, aggression is high.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namely, to examine whether social withdrawal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self-esteem affecting aggres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f wealth on social withdrawal. Also, social withdrawa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ggression, and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ggressi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social withdrawal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self-esteem affecting aggression. As a result of bootstrapping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indirect effect of social withdrawal was significant in the process of self-esteem affecting aggression, indicating that self-esteem affects aggression through social withdrawal.

한국어

초기 청소년의 경우 공격성을 적절히 발산하지 못하면 향후 비행을 일으킬 가 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청소년기의 공격성은 현재의 부적응 뿐 아니라 미래의 부적응을 예측할 수 있으며 성인기의 공격성으로 지속될 가능성 이 높다. 이 외에도 많은 연구에서 공격성은 청소년 비행의 주요 요인임을 주장 하고 있어 청소년의 바람직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서는 공격성을 줄이기 위한 관 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공격성과 관련하여 많은 학자들이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이 공격성과 관련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공격성이 낮고, 사회적 위축의 정도가 높으면 공격성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 간의 관계 를 알아보고자 하였는데 즉 자아존중감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 회적 위축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위축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위축은 공격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공격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위축이 매개효과 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하여 붓스트래핑을 실시한 결과에 서도 자아존중감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위축의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영숙 Park, Young Suk.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대우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