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임진왜란 시기 피로인(被虜人)의 체험과 체험 공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Joseon Captives experience and experience spac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1598(壬辰倭亂)

정영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examines the experiences of the captivated intellectuals and their perceptions focusing on Kang Hang's 「Ganyangrok」, Jeong Heedeuk's 「 Wolbonghaesangrok」, and Noh In’s 「Geumgyeilgi(Diary)」. In the Joseon Dynasty, the ocean was not the place of living, so it stayed in the space of appreciation rather than the space of life. The intellectual who recorded the actual experience of being captivated became the captivated person in an instant due to the Imjin War, witnessed death at sea and experienced frustration. Such experience was enough to recognize the sea as a space of wailing. Japan, discovered by intellectuals who crossed the Hyeonhaetan and arrived on land, was not the a savage world or fairy world, but a living space in reality that was no different from that of Joseon. They lived there and interacted with Japanese monks and scholars. Some of Joseon's intellectuals were able to return to Joseon with the help of the Japanese who had exchanged with them through a medium of Chinese literature. The actual record of the captivated people, which is currently passed down, is a record of the experiences of the intellectuals who were able to return to Joseon at the time. Although Joseon’s intellectuals stayed in Japan as captivated people, they were able to interact with other people in the same situation through their own information network, and through these exchanges, they learned the reality of Japan. The ocean functioned as of pain and exultation space in the journey of being brought back to life after being taken captive to Japan. But, The fate of the Joseon's intellectuals who return to Joseon after the Imjin Warren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eople who returned to Joseon by repatriation of captive, and they had to constantly show their loyalty.

한국어

본 논문은 강항의 「간양록」, 정희득의 「월봉해상록」, 노인의 「금계일기」 를 중심으로 피로인들의 체험과 그들의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조선 시대에 해양(海洋)은 생활의 터전이 아니었으므로 삶의 공간이기보다는 완상(玩賞) 의 공간에 머물러 있었다. 피로인 실기를 기록한 지식인은 임진왜란으로 인 해 한순간에 피로인(被擄人)이 되어 바다에서 죽음을 목격하고 공포를 경험 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바다를 통곡의 공간으로 인식하기에 충분했다. 현해탄을 건너 육지에 도착한 지식인들이 발견한 일본은 야만의 땅도 선 계(仙界)의 세상도 아닌 조선과 별다르지 않은 현실 속 생활공간이었다. 그 들은 이곳에서 생활하며 일본의 승려, 문사들과 교류하였다. 조선의 지식인 중 일부가 한문학을 매개로 교류하던 일본인의 도움을 받아 조선으로 귀환 할 수 있었다. 현재 전하는 피로인 실기는 당시 조선으로 귀환할 수 있었던 지식인들의 체험담(體驗談)을 기록한 것이다. 조선의 지식인들은 피로인이 되어 일본에 머물렀지만, 그들 나름의 정보망을 통해 같은 처지에 있던 다른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었고, 이런 교류를 통해 일본의 실상도 알게 되었다. 피로인이 되어 일본으로 끌려갔다가 생환하는 여정에서 해양(海洋)은 그 들에게 고통과 환희의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조선 으로 귀환한 조선 지식인들의 운명은 쇄환으로 귀국한 피로인과 별반 다르 지 않았고, 끊임없이 자신의 충정을 내보여야 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피로 체험과 체험 공간
1. 피로인의 여정과 일본
2. 일본에서의 생활과 귀환에의 의지
3. 피로인의 귀환과 바다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영문 Joung Young-moon. 숭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