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Smart Work and Distribution Fairness on Creative Self-efficacy
초록
영어
Smart work, which can actively respond to rapidly changing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global pandamic phenomena, is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by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particular, smart work is a creative form of work, and the competence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directly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cordingly, since there is a correlation with creative self-efficacy, which is an intrinsic factor affecting the competence of the member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ffect of sub-factors of smart work on the rejection factor of creative self-efficacy. In addition, distribution fairness was set as a controlling variable to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each factor model.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37 members of domestic IT companies that introduced smart work for three weeks from March 10, 2022.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first, the work efficiency of smart work has a positive (+) effect on creative self-efficacy. Second, the autonomy of smart work has a positive (+) effect on creative self-efficacy. Third, distribution fairness regulates the work efficiency and creative self-efficacy of smart work into a positive (+) relationship. Fourth, distribution fairness regulates the autonomy of smart work and creative self-efficacy in a positive (+) relationshi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anded the scope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lication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xternal and intrinsic factors in policy discussions or performance analysis-oriented studies in smart work research. Therefo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한국어
전 세계적인 팬더믹 현상으로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한 스마트워크는 정보통신기술(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를 사용하여 기업의 경쟁 력을 높이고 있다. 특히 스마트워크는 창의적인 근무 형태로써 조직원의 역량이 조직성과 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조직원의 역량에 영향을 주는 내재적 요인인 창의적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가 보이는 바 스마트워크의 특성이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각 하위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또한 분배공정성을 조절 변수로 설정하여 각 요인모형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22년 3월 10일부터 3주간 스마트워크가 도입된 국내 IT기업의 종사자 중 총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스마트워크의 업무효율성은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스마트워크의 자율성은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분배공정성은 스마트워크의 업무효율성을 조절하여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정(+)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분배공정성은 스마트워크의 자율성을 조절하여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정(+) 의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연구에 있어 정책적 논의나 성과 분석중심의 연구에서 외재적 요인과 내재적 요인의 상관관계를 실증 분석하여 이론적, 실무적 적용의 폭을 넓혔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이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 및 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2.1 스마트워크
2.2 스마트워크와 창의적 자기효능감
2.3 분배공정성의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3.1 표본 및 자료수집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Ⅳ. 분석결과
4.1 신뢰도 및 상관관계 분석
4.2 확인적 요인분석
4.3 가설 검증
Ⅴ. 결론
5.1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