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the Subordinates’ Family Undermining: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and Moderating Effect of Work-Family Boundary Strength and Resilience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direct effect of leader’s abusive supervis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to family undermining,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family boundary strength and resili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direct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on family undermining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abusive supervision improved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conflict increased family undermining, an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increasing family undermining through work-family conflict was supported. Third,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family undermining was confirmed as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which was reduced when the level of resilience was high.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theoretically expand existing research and manage dark aspects of leadership such as abusive supervision by propose that future research can have an impact on the family domai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 of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한국어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가정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일- 가정 갈등을 매개변수로 하여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 간의 부정적 영향관계를 일-가정 경계강도 및 회복탄력성이 완화시킬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가설의 실증적 검증을 위해 직장인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가정침해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 를 도출하였다. 둘째, 비인격적 감독은 부하의 일-가정 갈등을 증가시키고, 일-가정 갈등은 가정침해 행위를 증가시킨다는 일-가정 갈등의 완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셋 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일-가정 경계강도의 인식이 강할 때 완화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으나, 일-가정 경계강도가 일-가정 갈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검증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일-가정 경계강도의 강화 가 필요함을 밝혔다. 넷째, 일-가정 갈등이 가정침해에 미치는 영향은 부하의 회복탄력성 정도에 따라 조절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개인특성으로서의 회복탄력성 증진 필요성 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비인격적 감독 연구가 부하의 태도 및 조직 내에서의 부정적 효과에 주목함에서 벗어나 가정영역에도 영향을 가질 수 있다는 제안을 통해 기존 연구를 이론적으로 확장하고, 비인격적 감독과 같은 리더십의 어두운 측면을 관리할 필요 성을 제안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도출
2.1 비인격적 감독과 일-가정 갈등
2.2 일-가정 갈등의 매개효과
2.3 일-가정 경계 강도의 조절효과
2.4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연구대상
3.3 변수의 측정
3.4 동일방법편의
Ⅳ. 연구결과
4.1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4.2 변수간 상관관계 분석
4.3 가설 검증
Ⅴ. 결론
5.1 연구결과 및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함께 이용한 논문
- 상사의 도덕적 정체성, 고용불안 지각,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구성원들의 반생산적과업활동과의 관계
- 호텔 조직 내에서 상사의 비인격적인 감독행위가 정서적 소진과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 R&D 전문가의 경력만족과 이직 의도의 관계 : 일과 삶의 균형에 따른 상반된 조절효과 검증 및 경영자를 위한 제언
- 중소기업에서의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지식공유행동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기혼 직장여성의 코로나 19로 인한 가족생활 변화와 일상스트레스, 일-가정양립갈등 그리고 직무만족도 간의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