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조직원의 자기통제 동기를 향상시키는 방안 : 자기통제 목표를 중심으로
초록
영어
Self-control – the capacity to modify one’s behavior – is an essential capability in society and in the workplace. This study proposes a possible self-control depleted-but-driven effect through three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resource depletion influences motivation to exert self-control. In Study 1, depleted participants heightened their self-control motivation to perform a persistence task. Studies 2 and 3 investigated two important boundary conditions. Specifically, Study 2 demonstrated that depletion boosts self-control motivation only when one’s self-control goals are under threat. Study 3 showed that the depleted-but-driven effect occurs only when people value long-term outcomes. The last two studies suggest that self-control goals are important factors for enhancing the motivation to exert self-control after resource depletion.
한국어
자기 통제 – 장기적인 목표를 위해 자신의 감정, 욕구 혹은 행동을 조절하는 능력 – 는 조직원에게 필요한 역량이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자기 통제를 한 후에는 인지적 자원 (cognitive resource) 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이는 이후의 자기 통제를 어렵게 만든다 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실험을 통해 자기 통제 직후 떨어지는 인지적 자원이, 그 이후 개인의 자기통제 동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인지적 자원이 떨어진 개인이 그 이후에 자기통제를 요구하는 일을 수행하려 고 할 때, 자기통제 동기가 향상되었다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두 번째와 세 번째 실험에서 는 – 인지적 자원의 감소와 자기통제 동기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 두 가지 중요한 조절 변수를 살펴 보았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자기 통제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인 개인에 한해서, 인지적 자원이 떨어진 이후에 자기통제 동기가 향상되었다는 결과를 얻었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장기적인 목표를 중요하게 여기는 개인에 한해서, 인지적 자원이 떨어진 이후에 자기통제 동기가 향상되었다는 결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는, 자기통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자기통제 목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Hypotheses
Ⅳ. Study 1
4.1 Method
4.2 Results and Discussion
Ⅴ. Study 2
5.1 Method
5.2 Results and Discussion
Ⅵ. Study 3
6.1 Method
6.2 Results and Discussion
Ⅶ. Contributions
References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