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현대미술에 나타난 물질의 불확정성 연구 : 과정성이 드러나는 작품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Contingency of Materiality in Contemporary Art

박정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Contemporary Art, the material is not perceived as mere physical component but is closely connected to the concepts of the work, and the material itself can be presented as a concept. After the physical body became conceptualized as a material as the subject of “materiality” rose to prominence in the 1960s, the ways contemporary artists interact with material are becoming elusive. Such contingency is analyz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shown through “the materiality that is accompanied by the process” of the work. Through contemporary art that reveals ‘process’, the researcher focuses on the works of contemporary artists – Richard Serra, Francis Alÿs, and Janine Antoni, who deal with matter as a material based on the sense of the body and the body as matter. First, Marcel Duchamp’s <3 Standard Stoppages>(1914), one of the most prominent works in the history of art relating to “contingency”, is discussed with Richard Serra’s (1969). The concept of entropy and contingency provides basis for the argument of this paper. Next, the works of Francis Alÿs and Janine Antoni are analyzed. The three artists explore tension within a finite structure and the lapse of ephemerality. Through this analysis, the extensibility of the materiality in contemporary art displayed through various media will be scrutinized.

한국어

현대미술에서 물질은 단순히 재료로서가 아닌 작품의 의미와 긴밀하게 연결되며, 물질 그 자체가 개념으로 제시되고 있다. 1960년대 물질성이 중요한 화두로서 인식되 며 신체도 물질의 범주에 포함되어 다루어진 이후, 현대미술 작가들이 그들의 작품에 서 물질을 다루는 다양한 방식들은 정의내리기 힘든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자는 현대 미술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이러한 ‘불확정적(contingent)’ 양상이 작 품에서 다루어진 ‘과정(process)을 동반하는 물질성’을 통하여 드러나고 있다고 바라 보고 이를 분석한다. 이러한 ‘과정성’을 드러내는 현대미술 작품들을 통해 연구자는 신 체의 감각을 바탕으로 하는 재료로서의 물질과 신체를 물질로서 다루고 있는 현대미 술 작가인 리처드 세라와 프란시스 앨리스, 그리고 재닌 안토니의 작업을 중심으로 살 펴본다. 먼저 미술사에서 우연성 개념과 함께 중요하게 언급되는 마르셀 뒤샹 (Marcel Duchamp)의 <세 개의 표준 정지 장치(3 Standard Stoppages)>, (1914) 작업을 리처드 세라(Richard Serra)의 <1톤의 기둥(카드의 집)(One Ton Prop)>(1969) 작업과 함께 논의한다. 이는 엔트로피와 우연성 개념이 연구자가 논의 하고자 하는 논지의 바탕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현대미술 작가 프란 시스 앨리스(Francis Alÿs)와 재닌 안토니(Janine Antoni)의 작품들을 분석한다. 세 작가들의 작업에서 각각의 개체들은 유한성을 지닌 구조에서의 긴장과 그리고 시 간의 흐름이 소멸로 이어지는 과정의 모습들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가시적으로 과정 적인 변화가 드러나는 물질이 현대미술 작품 안에서 개념적으로 확장되어지는 의미 영역에 대하여 발견해볼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수직에서 수평으로
Ⅲ. 의미의 무의미화
Ⅳ. 연약함을 드러내는 것으로부터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정선 Park, Jung-Sun. 홍익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