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based on limited thinking experimental conditions and derived the level of creativity in limited thinking through the evaluation of creativity accordingly. Through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confirm how limited thinking affects the level of creativity, and to suggest an efficient method for creativity education.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Finke (1990) experiment, more creative ideas were derived from divergent thinking than from restrictive thinking without options. However, ideas in restrictive thinking were more creative, resulting in high-quality creative ideas in restrictive thinking with no choice. In addition, statistical analysis proved the difference between restrictive thinking and divergent thinking groups, resulting in a conclusion that restrictive think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ity. These research results derive the need for creativity education that can improve creativity, and intend to lay an academic foundation for proposing efficient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limited thinking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제한적 사고 실험 조건을 기반으로 실증 연구를 수행하고 그에 따른 창의성 평가를 통해 제한적 사고에서의 창의성 수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한적 사고가 창의성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아이디어를 창의성 교육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언하 고자 한다. Finke(1990) 실험을 기반으로 한 실증 분석 결과, 선택권이 없는 제한적 사고에서보다 발산적 사고에서 창의적 아이디어가 더 많이 도출되었다. 하지만 실용성과 독창성을 기반으로 한 창의성 측면에서는 제한적 사고에서의 아이디어가 발산적 사고보다 더 높았으며, 이를 통해 선택권 이 없는 제한적 사고에서 질 높은 창의적 아이디어가 도출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통계 분석을 통해 제한적 사고와 발산적 사고 그룹의 차이를 증명하여 결론적으로 제한적 사고가 창의성에 유의 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역량인 창 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제한적 사고’를 통한 효율적 인 창의성 교육을 제안하는데 학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전통적 아이디어 발상기법
2. 제한적 아이디어 발상기법
3. 창의성 평가
Ⅲ. 연구방법론
1. 연구절차
2. 연구방법
Ⅳ. 실험 결과
1. 제한적 아이디어 도출 및 창의성 평가 결과
2. 통계적 유의성 검정 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