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구려 四神圖에 나타난 고대인의 사생관

원문정보

The view of life and death in Four Mysterious Animals through Koguryeo tomb

고구려 사신도에 나타난 고대인의 사생관

유영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on the mural paintings in Koguryo tumulus. The ancient tomb murals are invaluable because they give much information on the contemparary view of the cosmos, and of life and death as well. Above all things, the pictures of four Mysterious Animals are the important subject matters to represent Goguryeo's unique culture. Four mysterious creatures, Blue Dragon(청룡), White Tiger(백호), Hyeonmu(현무), and Jujak(주작) are animals that do not exist in reality and symbolize the faith of heaven. Sashindo(四神圖) represents cosmic life in connection with constellations on all sides painted on the ceiling of the ancient tomb, the five planets of the lunar calendar, and 28 astronomical charts. Given that the envoy of Goguryeo murals is the result of observing constellations, and that the system of ideas responding to constellations is firmly rooted in faith, scientific understanding of Four heavenly Lotus(四宿圖) can be seen as the key to revealing our ancient culture.. The relics excavated from dolmens, which are widely distributed on the Korean Peninsula, are valuable materials to learn about ancient culture. The tomb type of Goguryeo tomb made of stonework is an extension of the dolmens style. The signs of constellations excavated from dolmens and dolmens indicate that astronomical observ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have a very long history and that there has been an independent astronomical culture that uses astronomical knowledge for politics, agriculture, and religion. These constellation paintings are handed down to Goguryeo tombs, and Sasindo should b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he constellation picture. the picture of Fous mysterious animals is a representative sanction of Goguryeo that rarely appears in ancient tombs of all generations in the early, mid, and late centuries, and has survived in different positions, sizes, and shapes. Blue dragons and white tigers are placed in the east and west as the gods repelling evil, and the Jujak and Hyeonmu, which are drawn in pairs, are placed in the south and north as the gods of harmony. It can be seen that the role is separated into the god in charge of protecting from evils and the god in charge of pursuiting of harmony. When understood as a cosmic symbolic system, it can interpret the original Korean idea of worshiping the sky. The four gods of Cheongryong, Baekho, Jujak, and Hyeonmu are not only symbols of the defense system, but also the beings connecting the ground and the sky, and are guardians of the safe return to the sky. It can be seen that the Goguryeo people understood death as a point of view of heaven's return, and despite the times when Buddhism was accepted at that time, the problem of life and death was maintained not a Buddhist prehistoric view but a traditional secular view.

한국어

본 논문은 고구려 고분 벽화 四神圖에 드러난 사생관을 알아봄으로써 고대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고구려 고분벽화는 한국의 고대문화의 원형이 보존 된 회화 연구의 절대적인 유적이며, 당시 생활과 풍속, 과학기술, 사회제도, 예술세계, 국제교류, 신앙 등 고구려의 전모를 품은 문화적 결정체다. 고분벽화 중 사신도는 고구 려만의 독창적 문화를 대변하는 중심 소재이며, 당시의 장례문화, 죽음관, 우주관을 짐 작할 수 있다. 청룡, 백호, 현무, 주작의 네 神獸들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신비의 상태로 하 늘 신앙을 대변하고 있다. 사신도는 고분 천장에 그려진 사방위의 별자리들, 일월오행 성, 28수의 천문도와 연계되어 우주적 생명을 상징한다. 고구려 벽화의 사신은 별자리 관측의 결과이며, 별자리에 대응시킨 관념의 체계가 신앙으로 굳건히 뿌리내린 결과라 는 점에서 四宿圖에 대한 과학적 이해는 우리 고대문화를 밝히는 열쇠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석축으로 된 고구려 무덤의 묘제 형식은 지석묘 방식의 연장이다. 한반도에 많 이 분포된 고인돌 출토 유물은 고대 문화를 알수 있게 하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최근 고인돌에서 출토된 별자리 판이나 고인돌 덮개석의 별자리 흔적은 한반도에서 천문 관 측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고 천문지식을 정치, 농경, 종교 등에 활용하는 독자적인 천문 문화가 일찍부터 있었음을 증언하고 있다. 이러한 별자리 그림은 고구려 고분에 그대 로 전승되고 있으며, 사신도는 별자리 그림인 사수도(천문도)와의 연관 속에서 이해되 어야 한다. 사신(四神)은 전기, 중기, 후기의 전 세대에 걸친 고분에서 거의 빠지지 않고 등 장하는 고구려의 대표급 제재로서 위치와 크기, 모습을 달리하며 존속해 왔다. 청룡과 백호는 서로 짝을 이루는 벽사의 신수로 동과 서에 배치되고, 쌍으로 그려지는 주작과 현무는 음양 조화의 신수로 남과 북에 배치된다. 벽사, 수호를 담당하는 신수와 음양의 조화로 평안을 추구하는 신수로 그 역할이 분리됨을 알 수 있다. 고구려 후기 고분에 이르러서 황룡이 등장함으로써 천문의 중심인 북극삼성과 짝하게 되면서 오신도-오수도의 체계가 완성된다. 황(黃), 청(靑), 백(白), 주(朱), 현 (玄)이라는 오색의 방위가 자리 잡으면서 음양오행의 우주적 생명 원리를 묘사하고 있 다. 사신은 단순히 풍수지리적 관점으로만 해석할 것이 아니라 천문지리를 통괄하는 시간적 공간적 체계로 이해하여야 한다. 우주적 상징체계로 이해할 때 하늘을 숭배하는 고대 한국 고유의 신선사상을 해석해 낼 수 있다. 청룡, 백호, 주작, 현무의 네 신수는 방위 체계의 상징일 뿐 아니라 지상과 하늘을 잇는 존재로, 하늘로의 안전한 회귀를 안내하는 수호자이다. 고구려인 들이 죽음을 하늘 회귀의 관점으로 이해하면서 생사에 대해 불이적(不貳的) 자세를 취 하여 왔고, 당시의 불교가 수용되던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생사의 문제만큼은 불교적 전생관이 아닌 재래의 계세적 내세관이 견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죽음을 담은 고구려 고분
1. 고대인의 신화와 하늘 신앙
2. 무덤에 나타난 하늘 신앙
Ⅲ. 고구려 고분에 등장하는 四神圖
1. 사신도의 출현
2. 사신도와 한국문화
Ⅳ. 四神의 형성과 화의
1. 사신의 기원과 의미
2. 사신도와 사수도
Ⅴ.사신도에 담긴 사생관
1. 계세적 내세관의 반영
2. 불이적 사생관의 의미
Ⅵ.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영모 Lew, Young Mo. 인천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