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학 작품을 소재로 한 17~19세기 朝·日회화의 유형과 양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ainting’s Type and Styles of Joseon and Japan in the 17th and 19th Century on Literature

조인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Edo period in Japan in the 17th and 19th centuries using literary works, and to clarify the artistic identity of the two countries through mutual comparison. During this period, Joseon and Japanese painters painted famous Chinese literature such as Jungjang-tong’s, Tao Yuan-ming’s, Su Shih, Wang Wei’s, Tu Mu’s and some poems. Literary works of the Goryeo Dynasty and Sijo(the poems of the Joseon) became the subjects on painting. On the other hand, in the Edo period, Japanese poets such as waka and haiku were drawn. The works that have become a hot topic are mainly those that pursue the life of a literary person, such as the mood of the four seasons and the longing for a life on a remote island. What had a common influence on the painters of both countries was Chinese pictorials such as 『Pictorial book of Mustard seeds garden』. Through the pictorial, painters learned the rules of use and law to be used when drawing landscapes. The style of painting by Southern School, which was learned through pictorials, became the main style for painters of both countries in the 17th and 19th centuries to produce works based on literary works. On the other hand, Nanga painters of the Edo period continued their own style of painting by grafting various styles of Chinese painting learned through various channels while taking the style of Southern School as the keynote. Furthermore, literary works such as haiku, which were actively built during the Edo period, were born as new paintings such as Midate-e, which differed from literary paintings based on the sentiments of the Edo people who valued decorative and practical things. As such, the keyword of painting based on literary works came to modern times, showing the sam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paintings in Joseon and Japan in the 17th and 19th centuries, when political stability and cultural prosperity were achieved.

한국어

이 연구는 문학 작품을 소재로 한 17~19세기 조선 후기와 일본 에도시대의 회 화를 대상으로 그 유형과 양식적 특징을 고찰하고 상호비교를 통해 양국의 예술적 독 자성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이 시기의 조선과 일본의 화가들은 중장통의 「낙지론」, 도잠의 「도화원기」, 소식의 「적벽부」, 왕유의 「종남산」, 두목의 「산행」, 일부 의 唐詩등 중국의 유명 시문을 화제로 했다. 조선에서는 고려시대 문인의 시부터 조선 후기 노비의 시까지 한시와 시조가 주를 이루었다. 반면 에도시대에는 일본 고유의 시 인 와카, 하이쿠등이 그려졌다. 화제가 된 작품들은 사계의 정취, 안빈낙도하는 삶을 동경하는 내용 등 문인 취향의 삶을 추구하는 것들이 주를 이룬다. 화가들의 신분은 조선에서는 윤두서, 강세황 같은 문인화가, 정선, 심사정등 화 업을 주로 한 문인화가, 김홍도, 이인문 등 화원화가 등 신분에 구분없이 다양한 중국 의 문학작품과 자국의 문학을 화제로 했다. 이들은 신분을 초월해 形似보다는 寫意를 중시하는 문인화에 대한 인식을 공유했다. 에도시대의 경우 이케노타이가, 요사부손, 다니분초등 문인이 아닌 남화가들이 주로 창작했음을 알 수 있다. 남화가들은 중국을 공부한 유학자들과 더불어 중국의 문화를 선망하며 중국 문인들의 삶을 추종했고 중국 에서 전해진 회화나 일본에 온 중국화가를 통해 중국의 회화를 적극적으로 익혔다. 양국의 화가들에게 공통적으로 영향을 준 것은 『당시화보, 『개자원화전』과 같은 중국의 화보이다. 화보를 통해 산수를 그릴 때 활용하는 수지법과 준법을 익혔고 예시된 인물의 표현이 문학작품을 화면에 옮길 때 가장 유효한 교본이었다. 화보를 통 해 익힌 남종문인화 화풍은 17-19세기 양국의 화가들이 문학작품을 소재로 작품을 제 작하는데 주된 화풍이 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조선의 경우 신분과 관계없이 보수적으 로 이어지며 유지되었다. 반면 에도 시대 남화가들은 남종문인화풍을 기조로 하면서도 여러 경로를 통해 익힌 중국의 다양한 화풍을 접목해 자신만의 화풍으로 이어갔다. 더 나아가 에도시대에 활발히 지어진 하이쿠등의 문학작품들은 장식적이고, 실용적인 것 을 중시하는 에도인들의 정서를 바탕으로 미다테에등 새로운 회화로 탄생되기도 했다. 이처럼 문학 작품을 소재로 한 회화라는 키워드는 정치 안정과 문화융성을 이루었던 17~19세기의 조선과 일본에서 같은 듯 다른 회화의 차이를 보이며 근대를 맞게 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차이는 그동안 내면화된 구성원들의 미감, 문화 성향과 무관하지 않 음을 알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시작하는 말
Ⅱ. 문학작품을 그린 회화의 흐름
1. 중국에서의 시작
2. 조선에서의 수용
3. 일본의 양상
Ⅲ. 문학작품을 소재로 한 양국의 회화 유형과 양식
1. 中國 문학의 회화 표현
2. 自國 문학의 회화 표현
Ⅳ. 맺는말
<참고문헌>
<참고도판>
ABSTRACT

저자정보

  • 조인희 Cho, In Hee.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