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송유수관도인 이인문의 다화(茶畵)연구 - 심미의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Lee In-moon's Tea Painting Study : Focusing on aesthetic consciousness

조동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rt that reflects the spirit of the times has variou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s Joseon intellectuals embraced Chinese culture, philosophy was reinterpreted, and hobbies were diversified. Intellectuals who pursue artistic life liked antique things and enjoyed tea. The artists expressed paintings and poems with tea as their subject.. Yi In-moon(1745-1824), an outstanding landscape pain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was famous like Sim Sa-jeong, and was known like Kim Hong-do. Tea paintings by Lee In-moon expressed tea love and utopia among intellectuals who value artistic values. Intellectuals who wanted to achieve artistic life enjoyed the arts by drinking tea in nature or villas, and Lee In-moon, who exerts his best ability in landscape painting, shows unique value in tea paintings that express the aesthetic atmosphere of writers. Through Lee In-moon's tea paintings, which are mainly expressed in utopia, you can learn about the life pursued by intellectuals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tea culture of the tim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secure a new meaning and value for Lee In-moon's painting and tea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exploring Lee In-moon's tea paintings. To this end, we look at the utopia expressed by Lee In-moon in pictures, and at the aesthetic utopia pursued by Joseon intellectuals. And Lee In-moon's tea painting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and discussed.

한국어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예술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지니게 된다. 조선의 문사와 경제력을 갖춘 위항지사(委巷之士)들이 중국 명, 청의 문인문화를 수용 하면서 성리학적 개념은 재해석 되었고, 취미생활은 다양화를 이루게 되었으며, 이는 예술로 표현되었다. 18세기와 19세기의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 고동서화(古董書畵) 애호와 더불어 茶를 즐기는 계층이 나타났고, 조선의 茶는 중흥을 이루었다. 茶는 품격 있는 삶을 이루고자 하는 이들을 중심으로 향유되었고, 심미적 가치를 추구하는 문사 들의 茶趣는 茶詩와 茶書, 그리고 茶를 그림의 소재로 묘사한 茶畵로 형상화되었다. 조선의 茶는 예술적 영감이 되어 당대 최고의 산수화가였던 고송유수관도인 이 인문(古松流水舘道人李寅文, 1745~1824)의 茶畵로 형상화되었다. 심사정 (1707-1769)과 쌍벽을 이루고, 김홍도(1745-1806)와 나란히 이름이 알려진 이인문 은 문사들의 茶문화를 산수茶畵로 표현했다. 詩書畫와 茶를 통해 심미적 삶을 이루고 자 했던 당대 문사들은 산수자연이나 성시산림(城市山林)에서 茶를 마시며 풍류를 즐 겼고, 寫意산수화에서 최고의 역량을 발휘하는 이인문은 문사들의 심미적 정취를 표현 한 茶畵에서 독보적 가치를 보여준다. 주로 이상향으로 표현된 이인문의 茶畵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문사들이 지향했던 심미적 취향과 茶문화에 대한 회화적 발현의 한 면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 는 ‘자연을 스승으로 삼았다.’는 이인문의 산수 중심 茶畵를 탐구하여, 이인문의 회화와 조선후기 茶문화에 대한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인문의 회화가 표현한 山水樂과 조선 문사들의 심미적 취향을 살펴보고, 이어서 당대의 茶문 화를 그림의 소재로 선택한 이인문의 茶畵를 산정일장의 茶, 古松流水의 茶, 한담아회 의 茶, 다도일여의 茶로 나누어 논의하고자 한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Ⅱ. 이인문의 회화
1. 山水의 理想鄕, 강산무진도(江山無盡圖)
2. 조선의 심미적 문사문화(審美的文士文化)
Ⅲ. 이인문의 茶畵
1. 산정일장(山靜日長)의 茶
2. 고송유수(古松流水)의 茶
3. 한담아회(閑談雅會)의 茶
4. 다도일여(茶道一如)의 茶事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동원 Cho, dong won.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