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후기 풍속화의 도가적 풍류

원문정보

The Taoist style Fengliu of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강옥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genre painting of the late Joseon period in the context of Taoist Fengliu, which pursues the Taoist hermit ideology. The Taoist hermit ideology is a generic concept referring to the belief in hermits, beings that transcended death, and various methodic and technical systems hoping to reach the state of hermit. This ideology accords with the spirit of Fengliu, where classical scholars leave the mundane world to commune with nature and enjoy freedom. Fengliu from the Wei Jin Dynasty of China was influenced by pedantry, and pedantry wa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Fengliu with idle nature of Taoism and Taoist hermit ideology handed down from ancient times. In the Silla period, the way of Hyeonmyo Pungryu was known as the hermit way, and the essential ideology of Taoism is the hermit ideology. Types of genre painting portraying Taoist Fengliu are largely divided into landscape figure painting that embodies the ideal worlds of Laozi and Zhuangzi and genre painting that depict the actual appearance of everyday life without a background. The individualistic tendency of noble literary artists to return to nature was painted as narrative figure painting or landscape figure painting reproducing seclusive Taoist ideology with an intent to pursue natural union and figurate it with a realistic sense of beauty. Customs of the noble class leaving the mundane world to enjoy nature and manage a rural life of the ordinary people, such as farmers, fishers, and woodcutters immersed in nature, were directly expressed on the canva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genre painting started as Taoist landscape figure painting. The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not the concept of vulgar painting, a concept relative to literary painting, but the flow of painting those days that acknowledges the popular customs of today.

한국어

본고는 조선 후기 풍속화를 신선사상을 추구하는 도가적 풍류의 맥락에서 고찰 하는 데 있다. 신선사상은 죽음을 초월한 존재인 신선의 존재를 믿고 그에 이르기를 바 라는 다양한 방법적․기술적 체계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이는 선비들이 세속을 초탈하 여 자연을 벗해 자유롭게 즐기며 살고자 하는 풍류 정신과 통한다. 중국 위진 시대의 풍류는 현학의 영향을 받았고, 현학은 도가사상을 중심으로 도가의 무위자연과 중국 상고시대부터 이어진 신선사상이 풍류에서의 철학적 바탕이었다. 신라시대에는 선도 (仙道)라 칭했던 현묘지도 풍류도가 있었는데, 도교 핵심 사상은 신선사상이다. 도가적 풍류가 깃든 풍속화의 유형에는 크게 노․장자의 이상세계를 형상화한 산수인물화풍의 풍속화와 배경 없이 일상적 삶의 실제 모습을 그린 풍속화가 있다. 사 대부 문인화가들의 자연귀의적인 개인주의 성향은 세속을 떠나 자연합일을 추구하고 이를 현실적 미감으로 형상화하려는 의도에서 은일적 도가사상을 재현하는 고사인물화 또는 산수인물화로 풍속화는 그려지기 시작하였다. 그 소재로는 자연에 몰입하여 은일 하는 농부, 어부, 나무꾼 등의 서민 풍속으로 전원생활을 즐기는 선비의 즐거움이라든 지 고사(高士)와 같은 이상적 인물이 속세를 떠나 자연을 즐기는 사대부의 풍속이 직 접적인 표현으로 화폭에 담겼다. 그러므로 풍속화의 시도는 도가적 산수인물화에서 시 작되었다고 본다. 조선 후기 풍속화는 문인화에 상대되는 개념인 속화(俗畫)의 개념이 아니라 오늘날의 통속을 인정하는 풍속화의 의미로 변한 그 시절 회화의 흐름이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도가ㆍ도교와 신선의 이해
Ⅲ. 도가적 풍류와 풍속화와의 관계
Ⅳ. 조선 후기 풍속화의 도가적 풍류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옥희 Kang, Ok Hee.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